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23일부터 산란일자 표시제 본격 시행… 농가 "가격폭락·수급대란 우려"(종합)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9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산란계 농가 "신선한 계란도 안 팔리는 생길 것"
명절 등 성수기 수요 대응 어려워 질 수도…중간유통상 까다로운 기준 제시 탓
울며 겨자 먹기로 싼값에 처분 우려도

23일부터 산란일자 표시제 본격 시행… 농가 "가격폭락·수급대란 우려"(종합)
AD


[아시아경제 김봉기 기자] "공장에서 물건 찍는 것도 아니고, 닭들에게 중간 유통상이 오는 날짜에 맞춰서 계란을 낳으라고 할 수는 없는 것 아닙니까."


경기도 연천에서 양계업을 하는 안영기(50)씨의 전화기 너머로 들리는 목소리는 근심이 가득했다. 오는 23일부터 본격 운영될 달걀 껍데기 산란일자 표시제 때문이다. 양계업을 시작한 지 25년차인 안 씨는 그동안 산란계 농장만 운영해 왔다. 그가 키우는 산란계 수만 20만 수. 하루 12만 개의 계란을 생산한다.


계란은 공산품과 달리 시장 상황에 따라 물량을 늘리거나 줄이기 어려운 비탄력적 상품이다. 가장 우려가 되는 것은 눈 앞에 다가온 추석 명절이다. 안 씨는 "현재도 산란한 지 2~3일 지난 계란은 중간 유통상이 구매를 꺼린다"며 "산란일자 표시는 도리어 신선도에 큰 문제가 없음에도 불신을 키워 업계 전체에 부담만 키울 것"이라고 우려했다.

23일부터 산란일자 표시제 본격 시행… 농가 "가격폭락·수급대란 우려"(종합)


1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이달 23일부터 달걀 껍데기에 닭이 알을 낳은 일자가 새겨지는 '산란일자 표시제도'가 본격 시행된다. 지난해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축산물의 표시기준'이 개정되면서 지난 2월23일부터 산란일자 표시제가 도입됐으며 6개월의 계도기간이 종료되면서다. 이는 2017년 계란 껍데기에서 살충제 성분이 발견돼 유통망의 추락한 신뢰도를 회복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다. 소비자는 개별 계란에 표시된 10자리 숫자로 산란일자, 사업자명, 사육환경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소비자에게 많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도입됐지만 농가를 중심으로 양계업 전체에 악영향을 끼칠 것이라는 지적이 쏟아지고 있다. 경기도 이천에서 2대째 산란계 10만 수를 기르는 정승헌(46) 씨는 "종전에는 낳은 지 2~3일 지난 계란도 아무 문제 없이 유통됐다"며 "하지만 요즘은 산란일이 조금이라도 경과하면 유통상인들이 꺼려한다"고 토로했다.


양계협회 등 생산자들은 산란일자 의무 표시제가 결국에는 계란 가격의 폭락과 수급 대란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비판했다. 유통구조상 대형마트, 슈퍼마켓 등에 납품하려면 대부분의 경우 중간유통상을 거쳐야 한다. 축산물품질평가원에 따르면 2018년 기준 국내에서 유통되는 계란은 농가와 소매업자가 직접 거래하는11.7%를 제외한 88.3%는 모두 중간유통상을 거친다. 중간유통상은 현재도 산란일자에 관해 까다로운 기준을 제시한다. 농가들은 기준에 맞지 않는 계란은 식품가공업체 등에 절반 수준의 가격에 팔 수밖에 없다. 농가에서 '울며 겨자먹기'로 처분하는 계란가격이 시장가격으로 자리 잡을 경우 양계업 전체로 피해가 돌아올 수밖에 없는 구조다.


이른바 '콜드체인'이라 불리는 냉장 유통망이 확보되지 않은 점도 산란일자 표시제의 맹점으로 지적된다. 류경선 전북대 동물소재공학과 교수는 "유럽과 미국 등지에서 산란일자 표시제도를 운영하지 않는 이유를 이해해야 한다"고 말했다. 류 교수는 산지에서부터 7~10도 내로 유통되는 콜드체인 확보없이 산란일자를 표시하기만 해서는 계란의 신선도 확보를 장담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명절처럼 계란 수요가 늘어날 때 대응하기 어려운 일이 벌어질 수 있다는 주장도 나온다. 통상적으로 계란은 30일 정도의 기한을 두고 유통돼 왔다. 그러나 산란일자가 표시되면 소비자들이 낳은 지 오래된 계란을 꺼리게 되고 명절 전에 재고 확보에도 차질을 빚게 된다. 명절 직후 보름에서 한달간 수요가 떨어지는 비수기 기간에 생산된 물량은 소비자의 외면으로 폐기처분 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국민의 알권리를 충족하고 계란 선택의 기준을 제시하기 위해 불가피한 제도라는 의견도 있다. 한국계란유통협회 관계자는 "국민들이 안전하고 신선한 계란을 골라 먹을 수 있도록 도입된 제도"라며 "농가에서부터 소비자에게 이르기까지 완벽한 콜드체인을 만들기란 현재 힘들다는 것도 주지의 사실"이라고 언급했다. 이어 그는 "팔지 못한 계란을 폐기하거나 저가로 팔아 가격이 폭락할 것이라는 예상도 현재까지는 기우에 지나지 않는다"고 일축했다.




김봉기 기자 superch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