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공사, 고덕강일2단지 등 건설현장에 '블랙박스' 단다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가 최근 인천 검단 지하주차장 붕괴사고와 같은 각종 건설현장 안전사고와 부실시공을 방지하기 위해 ‘동영상 기록관리’를 본격 시행한다.

철근배근 검측 과정 동영상 장면. [사진제공=SH공사]

SH공사는 ‘안전계약특수조건’에 건설공사 주요 공정별 동영상 촬영을 의무화한 ‘서울특별시 공사계약특수조건’을 반영하고, 고덕강일2단지, 답십리17구역 등을 시작으로 동영상 기록관리를 확대 적용한다고 4일 밝혔다.

안전계약특수조건은 건설공사 산업재해 예방과 중대재해처벌법 준수를 위해 제정한 SH공사 내부규정으로 ▲안전관리계획 수립 및 이행 ▲안전관리자 배치·중대재해 발생 시 업무처리 절차 ▲안전관리비 계상 및 사용 ▲ SH공사 안전관련 규정 준수 등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지난해 12월 제정됐으며, 올해 ‘동영상 기록관리’ 의무화 규정이 추가됐다.

동영상 기록관리 대상 현장은 ▲추정금액 100억원 이상인 공사(민자사업 등 포함) ▲추정금액 100억원 미만인 공사 중 철거 및 해체 대상공사(교량, 고가, 건축물 해체 등) ▲기타 발주부서의 장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공사 등이다.

앞서 오세훈 서울시장은 지난해 1월 SH공사 방문 신년보고에서 핵심 과제로 ‘공공주택 질적 제고’를 강조한 바 있다. 이에 SH공사는 건설현장 품질을 확보하고 사고 발생 시 원인분석 및 조기수습, 안전사고 예방 등을 위해 ‘동영상 기록관리’를 의무화했다.

이에 계약상대자는 본 공사 착공 전까지 동영상 촬영계획을 수립해 감독자의 검토·확인과 승인을 받아야 한다. 중요공정 등 세부기준은 ‘서울시 건설공사 동영상 기록관리 매뉴얼’ 기준을 준용해야 한다.

SH공사는 나아가 건설현장 ‘동영상 기록관리’의 내실있는 운영을 위해 대상 현장들의 관리 실태를 집중 점검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건설현장 부실시공 방지와 안전사고 예방에 앞장서 2022년 사망사고 ‘0건’, 2021년 대비 안전사고율 ‘62% 감소’ 등의 결실을 이어나갈 방침이다.

김헌동 SH공사 사장은 “동영상 기록관리를 활용해 사고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할 것”이라며 “안전사고 신속대응 체계로서 기능을 수행하고, 현장 근로자와 시민의 안전을 위해 책임을 다하는 데 활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건설부동산부 곽민재 기자 mjkwak@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