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교육걱정없는세상, 수능절대평가 안착 방안 토론회1%가 0.1% 되기 위해 경쟁하는 '과잉변별시대' 비판절대평가 이후 변별력 문제 해소 방안 논의
[아시아경제 이민우 기자] 수능절대평가 도입에 있어 가장 큰 문제로 제기되는 변별력 부분에 대해 "평균 95점을 맞는 상위권 학생이 남들 보다 더 높은 등급을 받기 위해 더 많은 시간과 에너지를 소모하는 '과잉 변별'의 시대를 극복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사교육걱정없는세상, 교육을바꾸는사람들, 좋은교사운동, 전국진학지도협의회 등 교육단체들은 13일 서울 용산구 사교육걱정없는세상에서 '2021학년도 수능 절대평가 전환을 위한 구체적 방안을 제시한다'는 토론회를 개최했다. 수능절대평가제는 문재인 대통령이 후보시절부터 강조한 대표적인 교육공약으로, 다음 달 교육부가 발표 예정인 '2021학년도 수능개편안'의 핵심 사안으로 꼽히고 있다.김영식 좋은교사운동 정책위원장은 "수능 중심의 현재 입시에서는 평균 95점을 받을 정도로 상당한 학업 성취를 보이는 학생이 맘보다 우위에 올라서기 위해 깊이 있는 학습보단 정답을 맞추고 덜 틀리기 위해 수많은 시간과 비용, 에너지를 소모하고 있는 형국"이라며 "4차산업혁명 시대에 적합한 인재에게 필요한 비판적 사고력, 창의력, 의사소통능력, 협업능력을 기르자는 방향성의 2015 개정교육과정의 취지를 살려내기 위해서는 현재와 같은 과잉 공부, 과잉 변별의 시대를 극복해야 한다"고 말했다.현재 수능절대평가를 반대하는 논의는 대학입학에 있어서의 변별력 확보가 어렵다는 주장 위주로 흘러가고 있다. 사교육업체 종로하늘교육은 최근 2015학년도 수능을 절대평가 변환 시 전 과목 1등급 인원이 현재 상대평가 체제 하에서의 인원 1140명에서 10배 이상인 1만4830명으로 늘어날 것이라는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서울대·연세대·고려대·성균관대·서강대의 정원이 1만3000명 남짓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이들 상위권 대학 입시에서 변별력 논란이 불가피하다는 지적이 뒤따랐다.이에 대해 동점자의 경우 학생부(내신)와 전공에 따라 영역별 가중치 부여, 면접 등의 요소를 추가로 평가한다면 변별력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는 대안도 제시됐다. 최승후 전국진학지도협의회 회장은 "지난 2008년도 수능에서 등급제 도입할 당시 시뮬레이션 한 결과 이 같은 전형 요소를 도입할 경우 충분히 변별력을 가질 수 있다는 결과가 도출됐지만 대학들이 이를 수용하지 않았다"며 "상대평가였던 당시와는 차이가 있지만 난이도 조절 등을 통해 등급별 인원을 유추해낸다면 이 같은 방법으로도 충분히 우려되는 변별력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그 밖에도 동점자 발생 시 추첨제, 수능 5등급제 등 다소 급진적인 논의도 나왔다. 하지만 이는 모두 지난한 사회적 합의의 과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현실적인 대안으로는 무리가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송인수 사교육걱정없는세상 공동대표는 "입시 경쟁에 매몰된 교육과 대학 서열화를 해소하는 데 있어 고교학점제 등 새 정부의 다른 교육공약과 함께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사회적 합의를 통해 안착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이민우 기자 letzwin@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사회부 이민우 기자 letzwi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