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 '운신 폭' 좁아진 한국은행

<B>9일 금통위 본회의…美 금리인상 가능성 확대에도 시기 불확실이달 말 FOMC 앞두고 금리 인하 단행 쉽지 않아</B>[아시아경제 정현진 기자] 오는 9일 한국은행이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결정한다. 이번달엔 금요일에 금통위 회의를 연다. 시장에선 기준금리 동결 의견이 우세하지만 한은이 어떤 선택을 할 지 관심이 집중된다.한은의 '운신의 폭'은 크지 않다. 우선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이 이전보다 확대됐다. 재닛 옐런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의장이 최근 열린 잭슨홀 미팅에서 매파적 발언을 하면서 한은은 외국인 자본 유출을 우려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다만 미국의 금리인상 시기는 여전히 불확실하다. 지난 2일(현지시간) 발표된 미국의 고용지표가 엇갈린 신호를 보냈기 때문이다. 미국의 9월 비농업부문 고용자수는 15만1000명으로 시장 예상치(18만명)를 밑돌았다. 이는 금리 인상을 12월로 늦춘다는 신호에 가깝다. 반면 이같은 고용지표는 스탠리 피셔 미 연준 부의장이 언급한 적정수준(7만5000명~15만명 증가)에는 부합된다. 이는 9월에 금리인상을 해도 문제가 없다는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이달 말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ㆍ20~21일)에서 금리 인상 가능성이 완전 배제된 것은 아닌 만큼 한은이 이를 지켜볼 가능성이 크다. 미 연준 외에도 일본 중앙은행(BOJㆍ20~21일), 유럽 중앙은행(ECBㆍ8일) 등 주요국 통화정책회의가 예정돼 있어 선제적인 금리인하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시장은 예측하고 있다.대내적으로는 가계부채 급증세가 금리 인하를 제약하는 요소로 작용한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지난달 금통위 직후 기자간담회에서 "가계부채가 예년보다 빠른 증가세를 보이면서 한국경제의 리스크 증대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며 우려를 드러낸 바 있다. 이후 정부가 부동산 공급을 줄여 가계부채 증가세를 잡기 위한 대책을 내놓았지만 주택시장은 수도권을 중심으로 집값이 크게 오르는 등 이상과열 현상이 확산되고 있다.지난달 30일 공개된 8월 금통위 의사록에서 금통위원들도 가계부채의 높은 증가세를 우려하며 기준금리 인하가 가계부채 확대에 영향을 줬다고 판단하고 있어 추가 금리 인하를 결정하기 쉽지 않은 상태다.배현기 하나금융경영연구소 대표는 "우리 경제 여건 상 기준금리의 마지노선은 1%로 보고 있다"며 "만약 한은이 추가인하를 하더라도 가계부채 이슈가 다시 불거지지 않겠다는 믿음이 생겨야 인하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기준금리 인하의 필요성은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개별소비세 인하 종료 등으로 하반기 중 정책을 통한 경기 부양을 기대하기 힘든 데다 정부의 추가경정예산(추경) 투입도 예상보다 늦어져 우리 경제의 하방 압력이 강하기 때문이다. 또 예상보다 국제 유가 오름세가 주춤하면서 전기요금 누진제 완화 등 물가를 낮은 수준으로 유지하는 요인이 많아 한은의 고민 커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정현진 기자 jhj48@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금융부 정현진 기자 jhj48@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