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신용등급 AA시대]남아있는 증시 위험 요소는?

[아시아경제 박선미 기자]국제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푸어스(S&P)가 한국의 신용등급을 AA로 상향 조정했지만 여전히 국내증시에서 외국인의 매수세를 제한할 수 있는 위험 요소들이 남아 있다.9일 증시 전문가들은 신용등급 상향 조정이 증시 상승으로 연결되는 절대 공식은 아니라고 입 모은다. NH투자증권에 따르면 2000년 이후 S&P가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을 상향조정한 것은 총 일곱 번인데, 이번을 제외한 여섯 번의 경우 실제 코스피 수익률이나 외국인 수급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았다. 신용등급 상향 이후 5, 10일간 코스피 수익률을 살펴보면 평균 1% 내외의 수익률을 나타냈지만 상승확률은 50%에 불과했고, 20일간의 수익률을 살펴보더라도 당시 주식시장 환경에 따라 등락이 엇갈리는 모습을 나타냈다. 다만 전세계적으로 국가신용등급이 하향 조정되는 추세에서 이번 신용 등급 상향이 외국인 투자자의 이목을 끌 수 있다는 점에서 증시에 플러스 요인이 될 수 있다.장화탁 동부증권 연구원은 "주식시장의 경우에는 신용등급이 높다고 해서 반드시 높은 밸류에이션을 적용 받지는 않는다"며 "다만 한국 주식시장의 절대 밸류에이션이 워낙 낮기 때문에 국가신용등급 상향이 밸류에이션 플레이 확산으로 연결되는 계기로 작용할 수 있는 것"이라고 조언했다.그렇다면 종가기준 연중 최고가를 낸 코스피의 추가 상승 흐름을 방해할 수 있는 위험요인은 어떤 것이 있을까.북핵 이슈와 북한의 도발 가능성, 중국의 한반도 사드배치 반대 등은 중요한 수급 주체인 외국인 입장에서 한국 증시 투자 매력을 떨어뜨리는 지정학적 위험이 될 수 있다. 실제로 한미 공동 실무단의 한반도 사드배치 공식 발표(7월 8일) 이후 한 달 동안 중국의 정책대응이 시작되면서 주식시장에서 차이나 관련주의 주가조정이 큰 폭으로 나타났다. 전종규 삼성증권 연구원은 "한반도 사드배치 공식화는 지정학적 리스크"라며 "최근 한 달간 엔터테인먼트·화장품·레저·면세점 등 중국 관련주가 평균 18.2%의 주가 조정을 받았으며 시가총액으로는 대략 11조2000억원이 사라졌다"고 전했다.2월말 1245원까지 상승했던 원·달러 환율이 1108원으로 낮아져 1100원선을 위협하고 있는 원화 강세 상황도 환율효과 완화와 수출에 불리해 기업 이익에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측면에서 국내 주식시장 위험 요소가 될 수 있다. S&P 국가신용등급 상향은 원화 강세요인으로 분류된다. 그 동안 박스권 하단 지지구간으로 작용했던 원·달러 1100원의 레벨이 한 단계 낮아지는 모습으로 연결될 수 있다는 얘기다. 김승현 유안타증권 연구원 "원화 강세가 나타나는 과정에서 외국인은 국내증시에서 12조원 가량 순매수했고, 향후 외국인의 매수강도와 실적 측면에서 환율효과의 완화가 걱정될 수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 밖에 미국의 고용지표가 개선되며 연내 금리인상 확률이 상승한 점, 마무리 단계에 진입한 글로벌 통화정책 공조로 유동성 확대 기대감이 약해질 수 있다는 점, 브렉시트(영국의 EU탈퇴)로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이 증가하고 있는 점, 국내외 경제에 대한 비관론에서 비롯돼 시장에서 우려하고 있는 기업실적의 불확실성, 유가 추가 하락 가능성 등도 국내증시의 추가 상승을 위협하는 위험요인이 될 수 있다. 박선미 기자 psm82@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증권부 박선미 기자 psm82@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