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분기 GDP 0.3%↑…5분기째 0%대 低성장(종합)

[아시아경제 구채은 기자] 올해 2분기(4~6월) 우리나라 경제가 전분기 대비 0.3% 성장하는데 그쳤다. 5분기째 '0% 성장률'이다. 메르스와 가뭄에 직격탄을 맞아 민간소비와 서비스업이 전기대비 크게 하락한 영향이다. 한국은행이 23일 집계한 '실질 국내총생산(GDP) 속보치'에 따르면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직전 분기보다 0.3% 증가했다. 이에따라 지난해 2분기(0.5%), 3분기(0.8%), 4분기(0.3%), 올해 1분기(0.8%)까지 5분기 연속 '0%대 성장'에 머물렀다. 메르스와 가뭄의 타격을 받은 업종이 많았다. 도소매및음식숙박업(0.8→-0.5%), 서비스업(0.9→0.1%), 운수및보관업(0.4→-1.3%), 보건및사회복지(1.8→-1.7%)등의 감소폭이 컸다. 방중권 한은 국민소득총괄팀 과장은 "고속버스 이용 등이 포함된 운수및보관업이나 병원 소비와 관련된 보건및 사회복지업의 성장률이 메르스영향으로 크게 떨어졌다"고 설명했다. 가뭄 영향으로 농림어업 1분기 3.4% 성장에서 11.1% 하락으로 돌아섰다. 이밖에 금융 및 보험업(3.7→2.3%), 부동산및임대(0.7→0.6%), 건설업(2.0→0.4%)등도 크게 꺾였다. 지출별로 살펴보면 민간소비는 메르스 영향으로 전기보다 0.3% 하락해 3분기부터 이어져오던 성장세가 꺾였다. 정부소비(0.2→0.7%)와 설비투자(0.2→0.4%)가 소폭 늘었지만 건설투자(7.4→1.7%), 지적생산물투자(2.3→0.1%) 등의 하락폭이 더 컸다. 수출은 반도체, 자동차를 중심으로 0.1% 늘었으나 수입은 원유, 자동차, 거주자 국외소비 등이 늘어 0.5% 증가했다. 방 과장은 "건설투자는 1분기 성장률이 커 기저효과가 반영된 측면이 있다"면서 "메르스 영향으로 민간소비가 줄어든 요인이 크게 반영됐다"고 설명했다.  실질 국내총소득(GDI)은 전기보다 1.3%개선됐다. 지난 1분기 개선세(3.6%)보다는 낮아졌다. 최용운 한은 지출국민소득팀 과장은 "전년 동기와 견줘보면 6.7% 성장한 것이기 때문에 개선세가 꾸준히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면서 "작년 4분기부터 원유가격 하락분이 반영되기 시작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구채은 기자 faktum@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금융부 구채은 기자 faktum@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