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박병희 기자] 미국 과학전문지 사이언스의 뉴스매체인 '사이언스인사이더'는 지난 5일(현지시간) '열악한 환기시설이 한국에서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의 대확산을 일으켰을까?'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국내 메르스 확산 원인에 대한 여러 학자들의 추론을 소개했다. 사이언스인사이더는 최초 메르스 환자가 머물던 평택성모병원 병실의 열악한 환기시설은 메르스 대확산과 관련된 미스테리 중의 하나라며 질병관리본부장을 지낸 이종구 서울대 글로벌의학센터장의 인터뷰 내용을 전했다. 최초 환자가 머물던 병실은 창문이 하나밖에 없고 이마저도 줄곧 닫혀있으며 환기, 배기구도 따로 없는 밀폐된 곳이었다. 이 센터장은 "작은 병실에서 문이 닫힌 채 에어컨이 돌아갔다"며 "병실 공기 중바이러스 입자 밀도가 매우 높았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바이러스를 한껏 머금은 공기가 에어컨을 통해 순환하면서 가스처럼 변해 예상하지 못할 정도로 멀리 날아갔을 것이라는 추측도 이미 제기된 바 있다. 실제로 평택성모병원의 다른 병실에 있는 에어컨 필터, 문고리, 화장실, 가드레일 등에서도 메르스 바이러스의 조각이 검출됐다. 이 센터장은 조사가 아직 진행중이라며 신중한 태도를 보이면서도 열악한 환기시설이 메르스의 비정상적 확산의 원인일 수 있다고 잠정 결론을 내렸다. 세계보건기구(WHO)에서 메르스를 담당하는 피터 벤 엠바렉 박사도 환기시설을 주목했으나 성급히 결론을 내릴 수 없다는 입장을 취했다. 엠바렉 박사는 "확보한 정보가 거의 없어 결론을 도출하기는 매우 어렵다"며 "조사를 통해 더 구체적 실태를 곧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독일 본 대학의 바이러스 학자인 크리스티안 드로스텐 박사는 열악한 환기시설 하나로 한국의 메르스 확산을 설명할 수는 없다고 지적했다. 드로스텐 박사는 인체에서 나오는 메르스 바이러스의 양이 환자마다 달랐다는 사우디아라비아의 연구 결과를 소개했다. 사우디에서 조사된 메르스 환자 12명 가운데 몇 명은 호흡 때 다른 환자들보다 훨씬 많은 바이러스를 내뿜은 것으로 조사됐다. 드로스텐 박사는 "한국의 최초 감염자도 그런 환자가 틀림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최초 환자가 고농도의 바이러스를 뿜은 게 불량한 환기시설과 상승작용을 일으켰다는 가설을 제기했다. 미국 미네소타 대학의 전염병 연구·정책 센터장인 마이크 오스티움 박사는 한국의 방역 체계를 거론했다. 전염성이 매우 강한 질병이 순간적으로 제대로 통제되지 않을 때 한국과 같은 사태가 어디에서건 발생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오스티움 박사는 "한국은 운이 없었다"며 "미국 뉴욕이나 독일 베를린 같은 곳에서도 일어날 수 있는 사태"라고 설명했다. 박병희 기자 nut@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국제부 박병희 기자 nut@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