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 '민영화 울렁증'

[아시아경제 김은별 기자] "이젠 민영화란 단어만 들어도 지겹습니다. 대선을 앞두고 설마 (민영화가) 될까 싶으면서도, 매번 이슈가 되니 피곤하네요."  최근 민영화론이 다시 불거지자 우리은행의 직원이 밝힌 소회다. 잠잠할 만 하면 터져 나오는 민영화 추진론 때문에 우리금융지주과 우리은행 등 계열사 직원들의 피로가 누적되고 있다. 현 정부 출범이후 2010년과 2011년 두 차례나 추진했다 무산됐는데 최근 김석동 금융위원장이 연내 민영화 의지를 표명하면서 또 다시 금융권의 관심사로 부상한 때문이다.  정부는 지난해 금융지주법 시행령 개정을 통해 우리금융 민영화 요건을 완화하는 방안을 추진했으나 정치권의 반대로 무산되자 이번에는 '현금상환 합병' 형태의 민영화를 물밑 추진중이다. 잠재적 합병 후보군은 최근 외환은행을 인수한 하나를 제외한 산은ㆍKBㆍ신한금융지주 등인데 KB금융이 가장 유력한 후보자로 지목되고 있다. ◆우리금융 내부 반발..피로감 호소=독자생존을 강조해 온 우리은행 노동조합은 크게 반발하고 있다. 노조는 16일 성명서를 내고 "우리금융 민영화는 독자생존 방식으로 이뤄져야 한다"며 "최근 언론에 회자되는 합병 등을 통한 민영화 방안에 결사반대한다"고 밝혔다. 노조는 정부가 보유하고 있는 우리금융 지분 중 30%를 국민들에게 분산 매각하고, 나머지 지분중 5%는 우리사주 조합에, 22%는 블록딜을 통해 시중에 팔자는 입장을 거듭 강조하고 있다. 노조 관계자는 "독자생존 방안이 있는데 왜 정부가 시대에 역행하는 메가뱅크에 집착하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일반 직원들은 민영화 논의 자체에 피로감을 느끼고 있다. 우리은행 한 직원은 "2009년 입사 때 면접 예상질문도 우리금융 민영화였다"며 "정부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한 차기 정권에서도 계속 이슈가 될 텐데 언제까지 이런 상황을 반복해야하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외부 시선도 부정적=우리금융 내부 뿐 아니라 외부에서도 반대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윤창현 신임 금융연구원장은 16일 "정부가 주도해 우리금융을 다른 금융지주회사가 인수하도록 하는 것에 반대"라며 "우리은행을 다른 은행과 붙여 메가뱅크를 만들었는데 시장에서 힘을 쓰지 못하면 (인수ㆍ합병을) 주도한 사람은 역사의 죄인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업계에서도 현 정부가 무리하게 추진하는 건 옳지 않다는 지적이다. 한 금융권 고위관계자는 "합병은 주식을 교환하는 형태라 자금은 크게 필요없지만, 합병회사의 주식을 정부가 갖게 돼 또다른 금융지주까지 국영화하는 셈이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한편 유력한 합병 후보로 꼽히는 KB금융의 어윤대 회장은 최근 "10조원이 어디 있느냐"며 우리금융 인수에 대해 고민하고 있지 않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러나 업계에서는 좀 더 지켜봐야 한다는 해석이 많다. 최근 새로운 민영화 방식으로 떠오른 현금상환 합병은 10조원에 달하는 자금이 필요하지 않으며, 어 회장과 이팔성 우리금융 회장 모두 '친 MB 인사'인 만큼 현 정권의 공약인 민영화를 외면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란 분석이다.  ◇용어설명◆현금상환 합병 : cash-out merger. 교부금 합병이라고도 한다. 합병할 때 존속회사(합병법인)가 소멸회사 주주에게 존속회사 주식을 주는 대신 현금이나 현물 혹은 회사채 등을 지급하는 것을 말한다. 지난 15일부터 시행된 개정 상법에 새로 포함됐다. 만약 A금융지주사와 우리금융이 이 방식으로 합병한다면 우리금융의 정부지분 57%를 A금융이 인수하되 이중 일정 부분은 정부에 우선 현금으로 주고, 나머지 지분은 합병 후 새로 출범하는 지주사의 주식으로 정부에 주게 된다. 그러나 공적자금 회수를 극대화하지 못한다는 점, 합병 후 새로운 금융지주의 지분을 또다시 정부가 갖게 된다는 점 등이 문제로 지적된다. 김은별 기자 silversta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금융부 김은별 기자 silversta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