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이창환 기자] 일본 대지진 이후 다수의 일본기업들이 생산거점을 이전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그간 엔고와 고비용 부담으로 시작된 이전 추세가 대지진 피해 및 원전사고에 따른 전력 부족 영향으로 가속화되는 양상이다.코트라는 23일 일본기업의 생산거점 이전 현황 보고서를 통해 지진 후 식품, 일용품 메이커들로부터 시작된 이전 현상은 자동차, 철강, 전기 등 일본의 주요제조업까지 확산되고 있다고 밝혔다. 자동차, 전기전자업체들은 일부 고기능 부품의 공급 기업이 이번 지진으로 생산에 차질을 빚자 리스크 분산을 위해 부품 조달처를 다양화 하고 있다. 도요타, 닛산, 혼다 등 완성차업체는 유럽과 아시아 지역에서 현지 생산 비중을 늘리고 있으며 이에 따라 덴소, 아이신정기 등 주요 자동차부품 업체들도 중국, 태국 등지에 대규모 부지를 취득하는 등 신흥국으로 생산설비투자를 확대하기 위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세계 최대의 자동차용 컴퓨터 칩 생산업체인 르네사스일렉트로닉스는 미국 및 대만 수탁제조업체에 대한 위탁 생산량을 늘릴 계획이다. 액정패널을 생산하는 히타치디스플레이 역시 8월부터 대만 CMI에 위탁생산을 대폭 확대할 예정이며, 카메라로 유명한 니콘은 말레이시아로 생산거점을 이전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일본의 3대 통신사 중 하나인 소프트뱅크는 안정적인 생산기지와 사업 연속성 확보를 위해 20억엔을 투자하여 데이터 센터를 한국으로 옮기기로 확정하고 10월부터 본격 가동을 목표로 관련 작업에 들어갔다. 스미토모 화학과 히타치화성 등도 중국에 공장을 신설하며 해외 이전 가속화에 동참하고 있다. 일본기업들은 그동안 고비용 구조와 엔화강세 기조, 최근 중국 등 신흥국과의 경쟁에 따른 가격인하 압력에 따라 수익 개선과 현지판매 전략의 일환으로 해외로의 생산기지 이전을 적극 추진해 왔다. 일본 내각부 통계에 따르면, 일본 제조업의 해외 현지생산 비율은 1995년도의 8.1%로부터 완만하게 상승해 지난해 18%로 역대 최고를 기록했고 2015년도에는 21.4%까지 예상되고 있다. 이에 일본정부는 공장건설 관련규제 완화방침을 발표하는 등, 부랴부랴 국내투자 촉진을 위해 파격적인 정책개선을 추진하고 있다. 지방자치단체와 경제유관기관들도 지진피해기업의 국내이전 및 유치를 위해 사무실 무료대여, 융자지원 등 복구지원관련 본부를 설치하고 애로사항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지진발생에 따른 컨트리 리스크 증대 및 비용문제 등으로 해외로의 생산거점 이전 가속화는 피할 수 없는 상황이며 현실적으로도 일본 정부의 규제완화 정책에 별다른 실효성이 없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정혁 코트라 일본사업처장은 "지진 이후 일본 내 부품생산 집중에 대한 문제점이 노출 되면서 일본기업들의 생산거점 다각화 움직임이 본격화 됐다"며 "일본 내 사업 환경의 획기적인 개선이 없는 한 이러한 흐름은 당분간 이어질 것"이라고 밝혔다.이창환 기자 goldfish@<ⓒ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부 이창환 기자 goldfish@ⓒ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