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기 폭풍이 다소 진정되면서 금융권에서 또다시 거액의 보너스 관행이 고개를 들자 영국 당국이 경각심을 일깨우고 있다. 영국 금융감독청(FSA)이 감독기관이 마련한 규제와 보수 가이드라인을 지키지 않은 은행들에 재정적 불이익이 따를 것이라고 경고하고 나선 것이다.헥터 샌츠 FSA 청장은 지난주 대형 금융권 최고경영책임자(CEO)들에게 보낸 서한에서 이같이 엄포를 놨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2일 보도했다.샌츠 청장은 서한에서 "실적에 관계없이 수백만 달러의 고액 연봉을 보장받은 인재들이 새로운 직장으로 옮겨 다니면서 그릇된 보수관행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며 "이 서한을 받은 금융기관들은 오는 10월말까지 보수정책을 작성해 보내줄 것"을 촉구했다. 샌츠 청장은 또 "금융권의 보수와 관련된 FSA의 새로운 규제와 가이드라인은 2010년 1월부터 시행될 것"이라고 밝히고 "FSA의 새로운 규제와 가이드라인은 주요 7개국(G7)이 국제 금융시장안정을 위해 설립한 금융안정위원회(Financial Stability Board)의 제안에 따른 것"이었다고 언급했다. 이와 관련 영국은행가협회(BBA)의 앤젤라 나이트 회장은 FSA의 가이드라인에 대해 전적으로 동의한다는 입장을 밝히는 한편, 금융업계의 보수관행을 바로잡는 데는 정부의 능력에도 한계가 있을 것을 우려했다. 나이트 회장은 "이 같은 방안은 국제적 차원에서 추진해야 한다"며 "지역적으로 설득하기에는 역부족"이라고 덧붙였다.실제로 골드만삭스 같은 일부 대형은행들은 지난 2분기(4~6월)에 실적 호조와 함께 거액의 보너스 지급을 추진하고 있다. 반면에 실적이 부진한 은행들은 정부의 감시 속에 보너스는 엄두도 내지 못하는 상황이다. 영국 정부가 지분 70%를 소유해 사실상 국유화된 로열뱅크오브스코틀랜드(RBS)는 올해 초 2008년도 현금 보너스 지급을 금지한 데 이어 2009년에도 보너스를 90%까지 삭감하기로 합의했다. RBS 관계자는 "하지만 올 하반기 실적에 따라서는 보너스 규정이 수정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FSA는 지난해 금융권의 거액 연봉과 보너스 문화가 모험 투자를 부추기고 금융 위기의 원인을 제공했다고 지적하고 금융업계의 보수체계 기준안을 마련한 바 있다. 당시 FSA는 리스크 고려없이 단기 수익에 근거한 성과측정방식 대신 이익·사업목표·위험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해 장기적인 성과 평균치를 따지는 새 보수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제안했다.배수경 기자 sue6870@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국제경제부 배수경 기자 sue6870@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