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지공사, 국민고용 늘리고 국민부담 줄인다

[공기업.. 경제살리기 불 밝힌다] <5> 한국토지공사 올 예산 12兆 조기집행 민간경기 회복 앞장 건설사 토지 3조어치 매입 기업살리기 선도 이종상 한국토지공사 사장이 지난 13일 90명이 넘는 간부들을 직접 챙겼다. 이날 토공 경영간부 93명 전원을 대동하고 한 워크숍에 참석한 것이다. 워크숍 주제는 다름 아닌 '경제살리기와 일자리 창출'. 새해 들어 모든 직원들에게 강조한 내용을 간부들에게 다시한번 주지시키고 실천의지를 다지는 자리였다는게 토공의 설명이다. 이 사장은 신년사를 통해서도 "경제살리기와 일자리 창출 등 정부의 정책지원에 선도적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특히 2009년 경영 기본방향으로 4개 부문을 제시하고 가장 먼저 '국민경제를 위한 경제살리기와 일자리 창출'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밝혔다. 한국형 뉴딜정책의 핵심과제인 SOC부문의 일자리 창출에서 토공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는 점을 간파한 이 사장이, 경영간부들과 함께 경제살리기 선도역할의 실천방안을 구체적으로 모색하는 자리를 마련했던 셈이다. <strong>◇1월에만 예산 15.4% 집행</strong>=토공의 올해 예산집행 규모는 12조6996억원. 국토해양부 산하 공기업 가운데 주택공사 다음으로 많은 예산이다. 대부분 택지조성공사를 수행하는 건설업체에 지급되거나 토지수용 등에 따른 보상비로 국민들이나 기업으로 흘러들어갈 돈이다. 토공은 이 같은 예산을 조기집행, 금융위기로 침체의 골이 깊어진 민간경기를 회복시키기 위한 선도역할을 자임하고 나섰다. 핵심 국토정책사업 위주로 사업추진방향을 전환, 신규사업 착수시기를 탄력적으로 조정했다. 이에따라 전체사업비의 61%인 7조7000억원이 상반기에 집중 집행될 예정이다. 고양향동과 남양뉴타운 등의 토지보상은 2달 앞당겨 지난해 12월부터 보상협의와 보상비 지급을 시작했다. 1월에는 1조5000억원 규모의 위례신도시와 3조원 규모의 동탄2신도시 보상에 돌입했다. 동탄2신도시 토지보상은 3월말부터나 보상이 실시될 계획이었다. 토공은 기업의 유동성 지원을 위해 지난 1월부터 기업보유 토지에 대한 보상을 진행중이다. 기업들은 토지보상이 계획보다 일찍 이뤄지는데다 보다 많은 현금화가 가능한 토공의 채권을 지급받으며 간만에 함박웃음을 지었다. 이처럼 조기 예산집행이 실시되면서 토공은 지난 1월에만 올해 예산의 15.4%인 1조9606억원을 집행했다. 이는 목표치보다 275.4%를 초과한 수치다. 국토해양부가 4조745억원을 집행하며 1월 목표 대비 155%를 초과한 것을 보더라도 토공의 예산 조기집행 실적은 돋보인다. <strong>◇건설사 보유토지 3조규모 매입</strong>=토공은 또 정부의 핵심 국토정책사업인 광역경제권 발전전략의 성장거점이 되는 산업단지, 경제자유구역 등에 대한 투자도 확대한다. 산업단지로는 올해 경북영천(1300억원), 오산가장2(2800억원), 남양주진관(580억원), 전남장성(1100억원)이 신규사업 착수 대상이다. 대구(1조7000억원), 포항(1조원), 장항(5000억원), 광주전남(1조8000억원) 국가산업단지도 착수하기로 했다. 경제자유구역사업으로 포항융합지구(3.8㎢)와 부산.진해권의 진해가주와 부산명동 등 5개 지구 6.7㎢ 기반조성사업도 추가로 추진할 예정이다. 민간 건설업체 보유토지 매입계획도 착착 진행되고 있다. 주택건설업체의 유동성 지원을 위해 기업보유토지 매입에 나서 벌써 3500억원 규모의 매입신청을 받아놓았다. 토공은 올해 3조원어치의 물량을 매입할 계획을 세워놓고 있다. 유동성에 목마른 건설업체에 대한 선금지급도 늘렸다. 선금지급액을 한 해 예산의 20%에서 30%로 10%p 높여 일자리를 실제로 창출할 수 있게 예산을 선투입할 여건을 조성해놓은 것이다. 저렴한 택지공급을 통한 국민부담 줄이기에도 나섰다. 이 사장은 취임 후부터 택지조성원가 절감운동을 전개하고 있다. 이른바 'Cost-down 365'라 불리는 운동을 실천해 택지 5%, 산업단지 10%의 조성원가 인하를 완수하겠다는 것이다. 토공이 시행하는 대구와 울산, 광주.전남 등 5개 혁신도시 조성원가를 이 같은 노력으로 평균 12.53% 끌어내렸다. 토공 관계자는 "토지조성원가 인하는 토공의 '땅장사' 이미지를 벗게 하고 국민에 좋은 토지를 더 싸게 공급하고 부동산시장을 안정시킬 초석을 마련하는 것"이라며 "다른 택지지구 조성에서도 이런 효과가 나타나도록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소민호 기자 smh@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건설부동산부 소민호 기자 smh@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