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이 일제 강제동원 현장인 군함도(하시마) 탄광 등 근대산업유산의 후속 조치를 제대로 이행하지 않는 것과 관련, 정부가 양자 차원의 협의를 지속하겠지만 진전이 없을 경우 유네스코가 관여해야 한다고 했다.
박상미 주유네스코대사는 15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세계유산위원회 회의에서 일본의 부실한 근대산업유산 등재 후속조치를 논의하지 못한 점에 대해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앞서 이달 7일 세계유산위 회의에서 한국이 메이지 산업유산 관련 '위원회 결정의 이행 상황에 대한 평가'를 잠정 의제에서 정식 의제로 채택하려던 시도가 일본의 반대 속에 위원국 표결을 거쳐 무산된 바 있다.
박 대사는 "메이지 산업혁명유산은 위원회가 4차례 결정을 통해 각 유적의 전체 역사를 이해할 수 있는 해석 전략을 개발할 것을 지속적으로 요청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며 "그러나 거의 1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이행이 미흡해 우려하게 만든다"고 지적했다.
지금 뜨는 뉴스
일본 정부는 2015년 군함도 등을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하면서 조선인 강제동원에 대해 설명하겠다고 공개 약속했다. 하지만 2020년 산업유산정보센터를 유산 현장이 아닌 도쿄에 설치하고 조선인 강제노동을 전혀 다루지 않는 등 제대로 이행하지 않고 있다.
이정윤 기자 leejuyo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