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자원순환 사업 진출 가능성
고려아연은 미국 에너지부(DOE) 산하 컨소시엄인 '보틀(BOTTLE·열가소성 플라스틱이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도록 설계한 생물 기반 최적화 기술)'과 폐플라스틱 재활용 기술개발을 위한 연구용역 계약을 체결했다고 29일 밝혔다.
현재 고려아연은 국내외에서 수거한 전자폐기물을 금과 은, 동(구리) 등 유가금속 회수를 위한 원료로 전환한 뒤 온산제련소에서 제품으로 최종 생산한다. 이 과정에서 전자폐기물 내 플라스틱이 폐기물로 다량 발생한다.
지금은 이를 국내외에 판매하지만, 보틀과 연구로 기술개발에 성공하면 폐플라스틱을 활용한 새로운 자원순환 사업에 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연구용역을 맡은 보틀은 미국 에너지부가 주도하는 플라스틱 순환경제를 위한 최상위 연구 플랫폼으로 평가받는다. 미국 국립재생에너지연구소(NREL) 등 다수의 국책 연구기관과 대학이 보틀에 참여하며, 아마존과 파타고니아, P&G, 룰루레몬 등 글로벌 기업도 파트너사로 보틀과 함께한다.
고려아연이 보틀과 체결한 연구용역 계약기간은 총 2년이다. 첫 1년은 고려아연의 현 사업 과정에서 발생한 폐플라스틱의 특성을 파악하고 재활용 기술개발을 연구한다. 나머지 1년은 개발한 기술을 기반으로 공정 설계와 최적화를 연구한다. 최종 연구 결과에서 사업 가능성이 확인되면 공장 상업화를 위한 설계 연구에도 착수할 계획이다.
연구 결과에 따라 보틀의 파트너사인 다수의 글로벌 기업들과 협업 가능성도 예상된다. 또 전자폐기물에서 발생한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하는 새로운 자원순환 사업으로 확장해 전자폐기물 자원순환 밸류체인에서 입지를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2021년 '바젤협약' 규제 대상에 폐플라스틱이 포함되면서 세계적으로 폐플라스틱 처리와 재활용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번 보틀과의 연구는 고려아연의 다른 자원순환 기술개발 연구에도 도움이 될 전망이다. 현재 고려아연은 전북대와 생화학적 재활용 기술로 인쇄회로기판(PCB)에서 금과 은, 동 등 유가금속을 회수하기 위한 기술개발 연구를 하고 있다.
지금 뜨는 뉴스
또 고려아연은 폐납축전지에 함유된 플라스틱을 재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현재 유해 폐기물로 분류되는 폐납축전지를 처리해 연(납) 제품을 생산하는 고려아연은 나아가 폐납축전지에서 플라스틱을 재활용하는 기술까지 개발해 탄소중립 실현과 순환경제를 이끌겠다는 계획이다.
심성아 기자 heart@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