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기업거버넌스포럼이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밸류업 계획에 대해 미흡하다는 평가를 내렸다. 이사회 구성과 주주환원 계획 등이 미흡하다는 지적이다.
포럼은 10일 논평을 내고 "한화에어로 밸류업 계획은 주주중심 경영 실천을 표방했지만 그 의미를 모르는 것 같다"며 "주주에 대한 진정성이 부족하고, 시장의 우려 사항인 이사회 구성, 자본배치, 현금흐름 상세 계획 등이 미흡해 D학점 부여한다"고 밝혔다.
포럼은 "밸류업은 매출, 이익, 투자 등 경영성과를 주주들에게 설명하는 자리가 아니다"라며 "좋은 거버넌스는 회사가 모든 주주의 장기적인 이익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합리적이고 투명한 의사결정을 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자기자본비용이 15%, 타인자본비용이 8%이라 밝혔는데 올해 3월 3조6000억원의 대규모 유상증자 추진한 것은 지금도 이사회의 합리적인 결정이라고 보기 어렵다"며 "3차례나 유상증자 증권신고서 정정 과정을 거쳤지만 시장과 많은 주주는 여전히 차입이 더 나은 선택이라 생각한다"고 평가했다.
이와 함께 이사회 구성도 미흡하다고 평가했다. 포럼은 "신임 사외이사로 선임된 육군 군수사령관 출신 인사는 이해하기 어렵다"며 "이미 한 명의 군 장성 출신인 사외이사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사외이사는 독립적이어야 뿐 아니라, 경영진을 모니터하며 자본비용, 자본배치 등 깊이 토론할 수 있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작년에 진행된 공개매수도 문제로 지적했다. 작년 한화에너지는 한화 보통주 600만주(지분율 8.0%)를 공개매수했다. 포럼은 당시 장기간 극히 낮은 주가 성과로 피해를 입은 한화 일반주주가 왜 지배주주 요청에 따라 주가순자산비율(PBR) 0.28배 헐값에 주식을 팔아야 하냐며 논평을 낸 바 있다.
포럼은 "거버넌스 관점에서 한화 공개매수에 주목했던 이유는 일반주주의 이익침해 가능성, 공정성의 문제였다"며 "당연히 지배주주나 경영진은 정보 비대칭에 따라서 우위를 점하는데 대규모 수주 전망 등 고급 정보에 대한 접근을 통해 한화 1~2년 후 주가 상승을 예견했을 가능성도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재명 정부가 추진하는 상법 개정이 반드시 필요함을 보여주는 생생한 사례"라며 "한화 이사회는 그 당시 이사 충실의무 관점에서 일반주주를 보호하는 조치를 취해야 했다"고 강조했다.
유현석 기자 guspower@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