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부회의서 "세종에서 추진될 당위성과 명분이 확실하다는 점 충분히 각인시켜야"
최민호 세종시장이 새 정부 국정과제로 제안할 주요 사업들에 행정수도와 한글문화도시 등 지역 특성을 녹여내는 창의적이고 실행력 있는 정책 발굴을 지시했다.
최 시장은 10일 간부회의를 통해 "새 정부의 기조에 맞춰 세종시의 방향성을 전달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국정과제에 세종의 기조를 담아낸 특색있는 사업을 반영시키는 것이 핵심"이라고 말했다.
이 같은 주문은 국정기획위원회 출범에 앞서 국정과제로 제안할 주요 사업들의 내용을 검토하고 향후 추진 전략을 점검하기 위해서다. 국정기획위원회는 60일 동안 새 정부의 정책과 공약을 가다듬고 국정과제의 청사진을 마련하는 역할을 맡게 된다.
최 시장은 "국정과제에 사업을 건의는 추상적이고 일반적인 내용에서 벗어날 필요성이 있다"며 "어떤 사업이 국가적으로도 굉장히 중요한데 무엇보다 세종에서 추진될 당위성과 명분이 확실하다는 점을 충분히 각인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한글문화 수도 세종에 걸맞게 한글 관련 공공기관을 유치하거나 한글문화 산업화 등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국정과제에 전방위적인 세종 맞춤형 대응 전략을 마련할 것을 지시했다.
최 시장은 "일례로 공공기관 유치를 제안하더라도 세종시가 공공기관 이전 대상에 포함돼 있지 않아 소외당하고 있다는 접근 방식은 타당성이 부족하다"며 "한글문화 수도 세종에 한글 관련 공공기관을 들여와 한글문화단지센터를 조성하자는 논리가 지역만의 특색을 담고 있어 더욱 설득력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에 대해선 지역 이기주의 문제로 매몰될 것을 우려하며 국정 효율성의 측면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입장을 분명히 했다. 45개 중앙행정기관이 이미 세종시에 자리를 잡아 각 부처가 칸막이 없는 유기적인 협력과 소통을 하고 있는 만큼, 한 곳(해양수산부)의 부처가 다른 지역으로 보금자리를 옮기면 운영 체계가 무너지게 된다는 것이다.
지금 뜨는 뉴스
해양수산부가 타지역으로 이전하면서 발생하는 지역 간 이해 득실을 따질 것이 아닌 국정 운영의 효율성과 안정성을 최우선으로 생각해 재고될 필요가 있다는 설명이다.
충청취재본부 김기완 기자 bbkim998@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