셈텍 아시아 2025서 토론회 개최
온실 가스 감축 위해 순환자원 재활용 시급
국내선 유해성 논란으로 제약
기후 대응 기금 등 재정 지원 필요성도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국내 시멘트업계도 저탄소 석회석 시멘트의 생산을 확대하고 순환자원을 재활용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10일 한국시멘트협회는 영국 글로벌 시멘트 산업 전문기관인 셈넷(Cemnet)이 주최하고 한국시멘트협회가 후원하는 '셈텍 아시아 2025'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개최 첫날, 특별 세션으로 열린 국내외 시멘트 산업 전문가 초청 토론회에서는 한국 시멘트 산업의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깊은 논의가 이뤄졌다.
토론회에 참석한 토마스 암스트롱 셈넷 회장은 "전 세계 시멘트 산업에서 우수한 제조 기술과 품질, 환경설비 등 ESG 경영에 노력하는 한국에서 셈텍을 개최하게 돼 무척 기쁘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번 셈텍 아시아에서 발표된 25개 연구 가운데 순환자원 재활용을 통한 온실가스 감축 연구는 15개에 달한다. 그런데도 국내에선 여전히 일부 유해성 논란으로 인해 순환자원 재활용에 많은 제약을 받는 상황이다.
삼표산업에서 활동 중인 장미셸 전무는 유럽의 시멘트 산업이 폐기물 처리의 핵심 공정으로 활용되는 이유에 관해 설명했다. 미셸 전무는 "첫째로 유해 물질을 거의 완벽하게 열분해하는 시멘트 소성로의 매우 높은 온도, 둘째로 잠재적으로 유해성이 있는 비산재를 매립할 필요가 없는 점 등이 순환자원 재활용의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법무법인 태평양 김진효 변호사는 "유럽과 마찬가지로 국내 시멘트 업계도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에 대응하면서 적극적인 감축 활동을 추진 중"이라며 "시멘트 공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포집과 활용(CCU·CCS)은 아직 완전한 상용화 이전 단계임을 고려할 때, 가연성 폐기물(순환자원)의 활용과 다양한 산업 부산물의 비탄산염 원료 재활용이 시멘트 업계의 대표적인 감축 수단"이라고 말했다.
다만, 그는 "배출권거래제와 같은 제도 안에서 국내 시멘트 업계가 해당 감축 수단들을 보다 적극적으로 도입할 수 있도록 합리적인 인센티브가 지속해서 부여될 필요가 있다"며 "시멘트 업계가 탄소 중립 기술을 개발하고 상용화할 수 있도록 기후 대응 기금 등을 통한 탄소 차액 계약 등 재정 지원도 꼭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김진만 공주대 교수도 유럽과 비교해 한국의 시멘트 산업이 시급히 개선돼야 할 사항을 발표했다. 김 교수는 "시멘트 공정에서 클링커의 원료로 사용되는 석회석은 소성 중에 이산화탄소를 배출하고, 이것이 시멘트 총 탄소 배출량의 60%를 넘는다"며 "총 시멘트량 중 15% 정도의 석회석 미분말을 클링커의 원료가 아닌 시멘트의 원료로 사용한다면 시멘트 품질은 저하하지 않으면서 매우 손쉬운 탄소중립 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창기 한국시멘트신소재연구조합 이사장은 시멘트 대체 연료 발열량 기준을 완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이사장은 "국내 폐기물관리법에 따르면 발열량 기준을 준수하는 폐기물만 대체 연료로 재활용할 수 있다"며 "현행 폐기물관리법상 시멘트 대체 연료의 발열량 기준은 4500?㎉/㎏인데 고형연료제품(SRF) 기준 3500㎉/㎏?보다 1000?㎉/㎏ 높아 대체 연료 확대에 장애가 된다"고 지적했다.
지금 뜨는 뉴스
끝으로 토마스 회장은 "무해한 폐기물을 사용하거나 폐기물을 무해하게 전처리해 사용하는 것, 폐자원을 재활용하고 활용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며 철강, 제지, 콘크리트, 목재 등 거의 모든 산업에서 오랫동안 추진되어 온 방향이므로 이러한 순환 자원의 재활용에 반대한다면, 자원을 활용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단언했다. 그는 "한국과 달리 유럽은 폐기물 등을 '자원'으로 인식하고 이를 활용해 사회적 편익을 극대화하고 있으므로 사회적 이해관계자 간의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공익적 측면을 고려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서희 기자 daw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