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모듈 재활용 의무화 조짐…선점 나선 한화큐셀
조지아 年50만장 처리 거점…"전역 확대 예정"
한화솔루션 태양광 부문 자회사인 한화큐셀이 미국 태양광 모듈 재활용 시장에 본격 진출한다. 폐 모듈 처리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전망하고, 자원 순환 체계를 선제적으로 구축하며 미국 내 태양광 공급망 전반을 아우르려는 전략이다.
한화큐셀은 미국 태양광 모듈 재활용 사업 브랜드인 '에코리사이클 바이 큐셀(EcoRecycle by Qcells)'을 현지시간 9일 출범했다고 10일 밝혔다. 연내 미국 조지아주 화이트 카운티에 연간 50만 장의 폐 모듈을 처리할 수 있는 전용 재활용 센터도 설립할 계획이다. 이는 설비용량 기준 약 250㎿ 규모로, 중소형 화력발전소 1기에 맞먹는 수준이다. 에코리사이클 바이 큐셀은 금번 센터 건립을 시작으로 향후 미국 전역으로 사업을 확장할 예정이다.
에코리사이클 바이 큐셀은 단순한 재활용 사업이 아닌, 발전소에서 철거된 모듈의 운송부터 책임진다. 운송, 자원 추출, 신규 모듈 생산에의 재투입까지 전주기를 포괄한다. 조지아주 재활용 센터에서 알루미늄, 유리, 은, 구리 등 고부가 자원을 분류해 신규 모듈 생산에 적용한다는 뜻이다. 이를 통해 한화큐셀은 모듈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을 감축하겠다고 알렸다.
이번 진출은 미국 시장 특성을 정조준한 결정이다. 미국 내 태양광 밸류체인의 후방 시장으로 확대하는 동시에 재활용 원료를 자사 모듈 생산에 재투입해 원가 절감과 공급 안정성까지 노릴 수 있는 다층적 전략으로 해석된다. 한화큐셀에 따르면 미국에서는 2030년까지 누적 21GW의 폐 모듈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며 발생량은 이후로도 지속 증가할 전망이다. 현재까지 연방 차원에서 재활용 의무화 조치는 없어 다수 폐 모듈이 여전히 매립되고 있다. 다만 워싱턴·캘리포니아 등 일부 주에서 재활용 법제화가 시작되며 관련 시장이 점차 열리고 있다.
지금 뜨는 뉴스
한화큐셀 관계자는 "한화큐셀은 제품 생산, 폐기물 수거와 재활용을 모두 수행하며 자원의 선순환 고리를 확립하기 위해 사업을 새롭게 시작한 것"이라며 "조지아주 센터를 시작으로 재활용 인프라를 미국 전역으로 확대해가겠다"고 말했다.
오지은 기자 joy@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