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트렌드 코리아 개최
"올해 전기차 시장 개선될 것"
올해 들어 5월까지 국내 전기차 시장이 40%대 성장하는 등 회복세를 나타내고 있다.
4일 환경부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5월까지 국내에서 판매된 전기차는 7만2450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 판매량 4만9617대보다 46% 증가했다. 2023년 같은 기간 판매량(6만4088대)보다는 약 13% 증가한 수치다. 이는 전기차 시장이 위축됐던 지난해의 기저 효과에 더해 보급형 전기차 출시로 저변이 확대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이날 코엑스에서 열린 전기차 전시회 EV트렌드코리아 부대행사 'EV360˚컨퍼런스'에 참석한 류필무 환경부 대기미래전략 과장은 "EV3, 캐스퍼 등 합리적인 가격대의 전기차가 고객의 선택을 받고 있다"며 "올해 전기차 판매 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차종별로는 승용차가 6만1368대, 승합차가 967대, 화물차가 10108대를 기록했다.
전기차 충전기는 올해 1~5월까지 3만7637기를 설치해 누적 설치대수 45만2323기를 기록했다. 이중 급속충전기는 5만1098기, 완속충전기는 40만1225기로 완속충전기가 대부분을 차지했다.
환경부는 앞으로 고성능 친환경차 중심으로 보급 지원 정책을 추진할 계획임을 강조했다. 류필무 과장은 "성능이 낮은 전기차, 무겁고 안전성이 떨어지는 배터리는 시장에서 못 나오도록 유도할 것"이라며 "배터리 에너지밀도 등 여러 가지 정책을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환경부는 현재에도 1회 충전 시 주행 거리, 충전 속도, 배터리 에너지 밀도에 따라 보조금이 차등 적용하고 있다.
배터리의 무게를 강조한 것은 유로7 등에서 브레이크 마모 입자 등 비배기성 환경 요금 규제를 예고한 데 따른 조치라는 설명이다.
한편 올해 1~5월까지 누적 수소차 보급대수는 1123대에 불과했다. 수소 승용차는 711대, 수소 승합차 412대였다. 환경부는 앞으로 수소 승합차 보급 대수를 전기 승합차 수준으로 확대할 수 있도록 유도할 계획이다. 류 과장은 "수소 승합차는 2023년까지 700대에 머물렀으나 지난해 1000대를 넘어섰다"며 "올해에 큰 폭의 변화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지금 뜨는 뉴스
환경부는 내년부터는 보조금 일변도의 정책에서 벗어나 금융 지원을 통해 민간이 자발적으로 전기차, 수소차 등 무공해차를 도입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정책을 확대할 계획이다. 무공해차 전환 융자 사업, 무공해차 충전 인프라펀드, 무공해차 안심 보험 등을 검토하고 있다.
강희종 에너지 스페셜리스트 mindl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