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의 "국가 역량 하나로 모을 리더십 발휘해야"
경총 "규제 개혁·노동 유연화로 기업 활력 회복해야"
한경협 "K제조업 재건과 첨단산업 육성 시급"
중견련 "AI 접목한 산업 혁신과 국익 중심 통상외교 필요"
무역협회 "통상 리스크 최소화…첨단 기술 투자 확대해야"
경제 5단체가 4일 일제히 논평을 내고 이재명 대통령에게 대내외 복합위기 속에서 경제 재도약의 길을 열어달라고 요청했다. 저성장 고착화와 내수 침체, 공급망 위기, 보호무역주의 확산 등 구조적 도전이 겹치는 시점에서 각 단체는 실용주의 기반의 정책 전환과 통상외교 강화, 규제 개선을 공통 과제로 제시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국가적 역량을 하나로 모으는 리더십을 발휘해 경제 재도약을 이끌어달라"고 밝혔다. 보호무역주의와 기술패권 경쟁 속에서 국가가 총력 대응에 나서야 한다는 입장을 강조하며, 경제계 역시 새 정부의 성공적 국정수행을 뒷받침하겠다고 했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인공지능(AI) 혁명에 대응하려면 민간의 활력을 끌어올리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경총은 특히 "기업 성장을 저해하는 각종 규제를 과감히 개선하고 유연한 노동시장과 안정적인 노사관계를 만들어달라"고 요청했다. 국민통합과 사회 통합에 대한 주문도 함께 제시했다.
한국경제인협회는 실용주의적 성과 중심의 정책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논평에서는 "첨단산업 육성과 'K제조업' 재건을 통해 성장엔진을 되살리는 것이 시급하다"고 밝혔고, 민생 안정과 산업 경쟁력 회복이 위기 극복의 핵심이라고 말했다.
한국중견기업연합회는 철저한 국익 중심 외교와 수출 경쟁력 회복, 내수 진작을 최우선 과제로 꼽았다. 특히 제조업과 AI의 접목, ICT·바이오·콘텐츠 등 신산업 전반의 총체적 발전을 요구했다. 기업 규제 인식의 전환과 선진국형 제도 개혁도 함께 주문했다.
한국무역협회는 통상위험에 대한 선제 대응을 최우선 과제로 내세웠다. 무협은 "범정부 차원의 통상외교 역량을 총동원해 실리 중심 협상 전략을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 수출 산업 전반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규제 철폐, 첨단산업 투자 확대, 핵심 인재 양성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지금 뜨는 뉴스
경제 5단체는 공통적으로 실용주의와 통상력 강화, 규제개혁을 새 정부의 주요 경제 과제로 지목했다. 각 단체는 이재명 정부가 기업과 민간의 역량을 최대한 이끌어낼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해야만 경제 도약의 전기를 마련할 수 있다고 입을 모았다.
박소연 기자 mus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