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안전관리원, 직권조사 권한 적극 활용
광주·서울 등 지반침하 고위험 지역 탐사
국토안전관리원이 여름철 집중호우 때 발생할 수 있는 지반침하 사고를 막기 위해 대형 굴착공사장을 집중 점검한다.
관리원은 2일 "전국 61곳 대형 굴착공사장을 이달 말까지 특별점검 방식으로 조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대상지는 광주 12곳, 서울 11곳, 경기 8곳, 전남 6곳, 강원 5곳 등이다. 각 지자체가 분류한 위험도 높은 대형 현장을 우선 선정했다.
깊고 넓게 파는 대형 굴착공사는 지반침하 위험이 크다. 특히 노후 하수관이나 지하 구조물 인근은 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아 집중호우 시 침하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관리원은 올해부터 지자체가 고위험 지역으로 분류한 곳의 지반탐사 주기를 기존 연 1회에서 2회로 늘렸다. 특히 노후 하수관 인접 지역의 탐사 거리를 지난해 1041.7㎞에서 올해 1780㎞로 70% 확대했다.
또한 지난달 지하안전법 개정으로 신설된 지반침하 위험지역 직권조사 권한도 적극적으로 활용할 방침이다. 인접·교차 위험지역, 민원 다발 구간, 전문가 평가 지역에 대해 선제 탐사를 적극 실시한다.
이달 중 시민들도 쉽게 지반침하 의심 구역을 파악하고 신고할 수 있도록 점검 요령과 절차를 담은 영상을 제작해 배포할 예정이다.
김일환 관리원 원장은 "집중 호우철 반복되는 지반침하 사고를 예방하고 국민 불안도 해소할 수 있도록 선제적인 탐사를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최서윤 기자 sychoi@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