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화재 교통안전문화연구소 분석
휴일보다 평일 보행 중 스마트폰 사용 비중 많아
어린이 절반은 보행 중 스마트폰을 사용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30일 삼성화재 교통안전문화연구소가 보행안전 애플리케이션 '워크버디'를 활용해 전국 17개 초등학교 435명의 어린이를 대상으로 어린이 보행안전 캠페인을 진행해 이같은 결과가 나왔다. 보행 중 스마트폰 사용으로 경고알림을 받은 어린이는 54%에 달했다.
하루 중 경고알림을 받은 횟수는 어린이 1명당 4.9회였다. 평일 경고횟수는 5.6회로 휴일(3.7회)보다 1.51배 많았다.
연구소가 2017년 진행한 연구결과를 보면 스마트폰을 사용하면 시각능력이 저하돼 전방 주시율이 15% 감소하고 시야 폭은 56% 줄어든다. 청각능력이 저하돼 전방 소리 인지거리도 50% 감소한다. 목적지 인지 저하에 따라 보행궤적상 좌우이동 편차도 8% 증가한다.
보행 중 스마트폰 사용으로 경고알람이 작동될 경우 대부분의 어린이는 걸음을 멈추거나 화면을 꺼서 해제했다. 전체 경고알람 작동건의 86%는 5초 이내에 조치를 완료했다.
보행 중 스마트폰을 사용하면 울리는 경고알람 횟수가 점점 줄어드는 것으로 나왔다. 앱 설치 초기 1일 6.5회에서 3주 후에는 5회로 22.8% 감소했다. 이는 어린이들이 보행 중 무의식적으로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습관이 보행안전 앱을 통해 개선됐음을 의미하는 것이라는 분석이다.
다만 코로나19 엔데믹(풍토병화) 이후 어린이 보행 중 교통사고는 증가하는 추세라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2023년 어린이 보행사고 사상자는 2694명으로 2020년과 비교해 26.2% 증가했다. 같은 기간 성인은 4.9% 감소한 것과 상반된 결과다.
지금 뜨는 뉴스
임채홍 삼성화재 교통안전문화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스마트폰 사용률이 증가한 만큼 보행 중에도 메시지를 보내거나 영상을 시청하는 등의 행동이 많아졌다"며 "위험한 습관을 갖게 되면 이를 바로잡는 데엔 많은 노력과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어릴 때부터 안전한 보행문화를 형성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최동현 기자 nel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