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2025년 4월 금융기관 가중평균금리'
주담대 금리 3.98%…7개월 만에 4% 아래로
예대금리차 1.48%…0.04%P 축소
은행이 취급하는 주택담보대출(주담대) 금리가 3개월 연속 하락하면서 평균 4% 밑으로 떨어졌다. 3%대에 진입한 것은 지난해 9월 이후 7개월 만이다.
주담대를 포함한 대출금리가 예·적금 등 저축성수신금리보다 더 큰 폭으로 하락하면서 예대금리차(대출금리-저축성수신금리)도 8개월 만에 축소됐다.
한국은행이 27일 발표한 4월 금융기관 가중평균금리에 따르면 지난달 예금은행의 주담대 금리(신규취급액 기준)는 연 3.98%로 전월 대비 0.19%포인트 하락했다.
주담대 금리는 올해 1월 4.27%까지 올랐다가 2월부터 3개월 연속 하락세다. 세부적으로는 고정형 주담대 금리(3.96%)가 0.19%포인트 하락했고, 변동형 금리(4.12%)는 0.13%포인트 줄었다.
김민수 한은 경제통계1국 금융통계팀장은 "기준금리 인하 및 추가 인하에 대한 시장 기대감이 반영돼 지표금리가 하락한 영향"이라며 "주담대의 경우 은행채 5년물과 같은 고정금리 주담대의 지표금리인 장기 시장금리가 지난달 비교적 큰 폭으로 하락했다"고 설명했다.
주담대가 포함된 가계대출은 4.36%로 전월 대비 0.15%포인트 하락했다. 지표금리가 하락하면서 전세자금대출도 3.81%로 0.18%포인트, 일반신용대출도 5.28%로 0.2%포인트 큰 폭 하락했다. 지난해 12월 이후 5개월 연속 하락세다.
기업대출은 양도성예금증서(CD) 91일, 은행채 단기물 등 단기 시장금리가 하락하면서 연 4.14%로, 전월 대비 0.18%포인트 하락했다. 대·중소기업 대상 금리 모두 내렸으나, 대기업 대상 금리는 4.04%로 전월 대비 0.28%포인트 하락한 반면 중소기업 대상 금리는 4.36%로 0.07%포인트 줄어드는 데 그쳤다. 대기업 대출금리 하락폭은 2011년 4월(-0.32%포인트) 이후 14년 만에 가장 크다.
김 팀장은 "운전자금 대출 등의 단기 시장금리가 하락하고 설비투자 지원을 위한 저리의 정책자금이 집행된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저축성수신금리(신규취급액 기준)는 정기예금 등이 내리면서 전월 대비 0.13%포인트 하락한 2.71%로 집계됐다. 지난해 10월(3.37%) 이후 7개월 연속 하락세다. 세부적으로 순수저축성예금 금리가 정기예금 등을 중심으로 0.12%포인트 하락해 연 2.71%였다. 시장형금융상품 금리는 금융채 등을 중심으로 0.25%포인트 하락해 2.69%로 집계됐다.
예대금리차(신규취급액 기준)는 1.48%포인트로 전월 대비 0.04%포인트 축소됐다. 지난해 9월(1.22%포인트) 이후 8개월 만에 격차를 소폭 좁혔다. 잔액기준 예대금리차도 2.21%포인트로 전월 대비 0.04%포인트 축소됐다. 다만 김 팀장은 "축소 추세를 이어갈지는 시장금리 향방이나 지표금리 추이를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가계대출 고정금리 비중은 56.7%로 전월 대비 1.2%포인트 하락했다. 고정금리 전세자금대출 취급이 줄어든 영향이다. 주담대 중 고정금리 비중은 89.5%로 1.3%포인트 상승했다.
지금 뜨는 뉴스
한편 비은행 금융기관의 예금금리는 신용협동조합(-0.08%포인트), 새마을금고(-0.09%포인트)가 하락했고 상호저축은행과 상호금융은 전월 수준을 유지했다. 대출금리(일반대출 기준)는 신용협동조합(-0.05%포인트), 상호저축은행(-0.13%포인트), 상호금융(-0.15%포인트)이 내려간 반면 새마을금고는 0.14%포인트 올랐다.
김혜민 기자 hmi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