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유로 시대' 열려"
크리스틴 라가르드 유럽중앙은행(ECB) 총재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불확실한 정책 탓에 달러화의 신뢰가 흔들리면서 유로화의 국제적 역할을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특히 미국이 독점해오던 기축통화의 지위를 유로존도 누릴 수 있는 절호의 기회가 왔다고 주장했다.
블룸버그 통신 등에 따르면 26일(현지시간) 라가르드 총재는 독일 베를린에서 한 연설에서 "현재 일어나는 변화가 '글로벌 유로 시대'를 열고 있다. 유럽이 유럽의 운명을 더 강력하게 이끌어갈 절호의 기회"라며 "그러나 이런 혜택은 저절로 주어지지 않는다. 우리 스스로 쟁취해야 한다"고 말했다.
기축통화로서 달러의 역할은 줄어드는 추세다. 현재 각국 외화준비금에서 달러가 차지하는 비중은 약 58%로 1994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유로화 비중은 20%에 머물고 있다.
라가르드 총재는 유로화 지위를 높이기 위한 세 가지 기반으로 ▲ 무역 개방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유지하고 이를 안보 역량으로 뒷받침해 신뢰할 수 있는 지정학적 기반 ▲ 단일 시장 완성과 규제 완화 등 경제적 기반 ▲ 강력한 법적·제도적 기반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아울러 방위비 분담 등 유럽 차원에서 공동 자금을 더 많이 조달해야 한다고 전했다.
블룸버그는 라가르드 총재의 이 같은 발언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의 글로벌 무역 및 미국 기관에 대한 공격을 유럽 당국자들이 유럽에 유리하게 전환하려는 시도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라가르드 총재는 최근 언론 인터뷰에서도 트럼프 행정부의 불규칙한 경제 정책이 유럽에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그는 "유럽은 건전한 통화와 독립적 중앙은행이 있는 안정적 경제·정치 지역으로 인식되는 게 당연하다"고 밝혔다.
지금 뜨는 뉴스
한편 요아힘 나겔 분데스방크(독일중앙은행) 총재는 이날 베를린에서 열린 별도 행사에서 "유럽의 경제모델과 국방 정책, 그리고 어떻게 하면 더 독립적으로 나아갈 수 있을지 다시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오수연 기자 syo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