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간 초기 테크 스타트업 115사 투자…생존률 96%
네이버와도 시너지…"해외 진출 지원 모색"

네이버의 기업형 벤처캐피탈(CVC) D2SF가 지난 10년간 총 115개 테크 스타트업에 투자했으며, 이들의 누적 기업가치는 현재 5조2000억원 규모에 달한다고 13일 밝혔다.
양상환 D2SF 센터장은 이날 서울 서초구 'D2SF 강남'에서 진행된 10주년 라운드 테이블에서 "투자 기업의 96%가 생존해 초기 단계 스타트업 투자의 성공 모델을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며 "지난 10년의 경험과 성과를 토대로 스타트업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더 큰 성장을 이룰 수 있는 교두보가 되고자 한다"고 말했다.
D2SF는 AI·버추얼·로보틱스 등 각 기술·산업에서 새로운 시도에 나선 '개척자' 스타트업들에 주목해왔다. 대표적인 예로는 국내 최초 AI 반도체 칩을 설계한 '퓨리오사AI', 로봇SW 기업 최초 상장사인 '클로봇', AI 데이터 플랫폼 최초로 상장한 '크라우드웍스' 등이 있다.
양 센터장은 "당장 협력 접점이 없어도 우수한 기술을 가진 초기 스타트업에 투자하는 게 D2SF만의 차별화된 전략"이라고 강조했다. 실제로 D2SF 투자 기업 중 99%가 투자 당시 시드(Seed) 또는 시리즈A 단계였다.
네이버와의 시너지도 냈다. 현재 전체 투자 스타트업의 64%가 네이버와 협력 중이다. D2SF로부터 두 차례 투자를 유치한 양수영 테크타카 대표는 "네이버쇼핑과 긴밀히 협력해 주7일 '네이버배송' 서비스를 운영하며 당일 출고율 99.9%를 기록 중"이라며 "급증하는 물류량을 안정적으로 처리하며 빠르게 성장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D2SF는 투자 이후에도 입주공간, 클라우드 인프라 같은 커뮤니티 프로그램을 제공해 스타트업 성장을 지원하고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을 적극 활용한 스타트업은 그렇지 않은 기업보다 약 9배 높은 성장률을 보였다는 게 D2SF의 설명이다.
지금 뜨는 뉴스
D2SF는 이제 국내를 넘어 글로벌로 확장을 모색 중이다. 현재 투자 스타트업의 81%가 글로벌 진출을 본격화하고 있으며, D2SF 역시 지난해 10월 미국 실리콘밸리에 거점을 마련했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이사는 메시지를 통해 "네이버는 기술로 출발해, 기술로 성장한, 기술 DNA를 가지고 있다"며 "앞으로도 네이버는 우수한 국내 스타트업들이 글로벌 진출을 통해 더 큰 성장을 이뤄낼 수 있도록 지원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박유진 기자 geni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