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는 미래 항공산업의 선제적 대응을 위해 '2025∼2029년 항공산업 육성 기본계획'을 마련했다고 23일 밝혔다.
시는 '글로벌 선도 항공우주 혁신도시, 인천'을 비전으로 정하고 인천국제공항 경제권 활성화, 항공정비(MRO) 산업 생태계 구축, 도심항공교통(UAM) 상용화 촉진, 드론산업 실증클러스터 조성, 우주·방산산업 성장 기반 구축 등 5대 전략과 18개 실행 과제를 내세웠다.
시는 앞으로 인천공항과 주변 산업단지를 연계한 공항 경제권을 확장하기 위해 특별법 제정 지원과 인천공항공사 협력 강화 등을 추진할 방침이다.
항공정비 분야에서는 정비단지 활성화와 민간 정비업체 유치를 통해 정비 수요의 국외 유출을 방지하고, 도심항공교통 분야에서는 실증노선 기반 구축과 제도 정비를 병행해 UAM 통합 관리시스템을 통한 인천형 도심항공교통 생태계를 조성한다.
또 인천 제조업의 항공산업 전환 시범사업을 지원해 일자리 창출의 가교역할을 하고, 산·학·연 연계를 통해 청년 대상 항공 특화 교육과정을 확대해 항공정비 허브를 구축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드론을 섬 지역 물품 배송이나 해양쓰레기 관리 등에 활용하고 우주산업 육성을 위한 산업 생태계도 조성하기로 했다.
시는 국방 관련 기술을 보유한 중소·벤처기업 육성을 위한 '국방벤처센터'설립과 관련해 타당성 조사를 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방위사업청과 지자체 간 협업 기반을 마련하고, 향후 지역내 국방산업 생태계 기반 확대 가능성도 검토할 계획이다.
지금 뜨는 뉴스
인천시 관계자는 "인천은 공항과 항만을 활용할 수 있는 항공산업의 최적지"라며 "항공산업 육성으로 고용 창출과 경제 활성화 효과를 내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박혜숙 기자 hsp066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