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바이오, 대관 조직 잦은 워싱턴행
셀트리온, 美 법인 중심 대응
'관세 폭탄'으로 대표되는 '트럼프식' 보호무역주의가 현실화하는 가운데 미국을 주요 시장으로 둔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의 긴장감도 높아지는 분위기다. 일부 기업은 워싱턴 정가의 움직임을 면밀히 주시하며 정책 분석에 부심하는 동시에 대관 역량을 총동원해 대응 전략을 마련하는 데 진력하고 있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제임스 최 부사장 산하 영업지원 담당 내 '글로벌 퍼블릭 어페어' 팀을 중심으로 미국 내 정책 변화와 관련한 대관 업무에 힘을 쏟고 있다. 이 팀은 2023년 해외 커뮤니케이션 업무 강화를 위해 신설돼 글로벌 정부 기관의 바이오 산업과 관련한 규제와 동향을 파악하고 대응하는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최근 이 조직의 워싱턴 출장이 부쩍 잦아진 것으로 알려졌다. 통상과 관련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측 유력 인사들과의 접촉면을 넓히는 데 특히 공을 들이고 있다고 한다. 삼성그룹의 현지 대관 조직의 조력도 받는 것으로 전해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의약품을 반도체와 함께 전략 산업으로 규정하고 품목 관세 부과를 위한 조사에 착수했다. 해당 조사는 '무역확장법 232조'를 근거로 특정 품목들이 국가 안보를 위협하는 것으로 판명이 나면 대통령이 관세를 물릴 수 있도록 한다. 조사 대상에는 완제약과 함께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주력 제품인 원료의약품(API) 등이 포함됐다. 트럼프 행정부가 완제약과 API르 구분해 자세히 들여다보는 만큼 정책 변화에 민감하게 대응할 필요가 있다.
셀트리온도 미국 대응 조직이 외부로 드러나진 않았지만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발 빠른 대응을 하고 있으며 그 중심에는 미국 법인이 있다. 셀트리온은 글로벌 빅파마인 암젠·화이자 등을 두루 거친 토마스 누스비켈을 2023년 미국 법인 최고사업책임자(CCO)로 영입한 바 있다. 누스비켈 CCO는 30년 이상 바이오제약 업계에서 대관 업무를 비롯해 영업·마케팅 등의 업무를 수행해온 전문가다. 셀트리온 미국 법인은 지난해 4분기 현지 로비 업체인 '블루버드'와 계약을 맺는 등 미국 내 정책 변화에 적극 대응해 왔다.
지금 뜨는 뉴스
선제적인 투자도 계획하고 있다. 셀트리온은 트럼프 취임 직후인 올해 2월 "상반기 중으로 미국 현지 원료의약품 생산시설 확보와 관련한 투자 결정을 마무리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트럼프 행정부의 '리쇼어링(국내 복귀)' 정책에 보다 적극적으로 대응하겠다는 전략이다. 관세 부과에 대한 선조치도 취했다. 셀트리온은 "올해 미국에서 판매 예정인 회사 제품에 대해 1월 말 기준 약 9개월분의 재고 이전을 마무리하는 등 올해 관세 영향 최소화 조치를 완료했다"며 "의약품 관세 부과 여부와 상관없이 올해 미국 내 판매분에 대해서는 그 영향을 최소화했다"고 했다.
정동훈 기자 hoon2@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