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韓, HBM·연구인력으로 美와 공조"…AI 시대 한미 협력 방안 제안

시계아이콘01분 45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한미 산업협력 컨퍼런스' 패널 토론
공급망·인력·기술 전방위 협력 필요
한국 HBM·제조 인재 강점 부각
AI 응용 서비스·데이터센터 투자 기회
美 반도체 보조금·GPU 규제 예외도 활용

한국과 미국이 인공지능(AI)·반도체 산업의 급격한 변화 속에서 공급망, 인력, 기술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진단이 나왔다. AI 기술이 산업 전반을 빠르게 재편하는 가운데 한국의 고대역폭메모리(HBM) 기술, 연구 인력 등의 이점을 활용해 미국과 더욱 긴밀하게 공조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15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한미 산업협력 컨퍼런스'에서는 AI와 반도체 분야 협력 전략을 주제로 전문가 토론이 진행됐다.


이날 토론에서 모더레이터를 맡은 김창욱 보스턴컨설팅그룹(BCG) 매니징 디렉터는 "AI 혁명은 굉장히 초창기 단계"라며 "하이퍼스케일러(클라우드 서비스 공급업체)들이 투자를 해왔는데 수익을 내지 못해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반도체가 AI의 가장 중요한 동력이며 계속해서 개발되고 진화해야 한다"며 "한국 기업들이 미국의 하이퍼스케일러들과 협력해서 파운데이션 모델을 어떻게 공유하고 활용할 것인지 생각해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반도체 기술을 보유한 한국 기업들이 미국의 클라우드 공급업체와 협력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는 것이 김 디렉터의 설명이다. 그는 "하이퍼스케일러들은 한국에 소규모 데이터센터를 만들고 싶어 한다"며 "한미 업체 간 '윈윈(Win-win)'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 것"이라고 부연했다.


또 미국은 연구 엔지니어가 부족한 반면, 한국은 제조 전문 엔지니어가 부족하기 때문에 상호 협력 가능성이 높다고도 진단했다.


"韓, HBM·연구인력으로 美와 공조"…AI 시대 한미 협력 방안 제안 김창욱 보스턴컨설팅그룹(BCG) 매니징 디렉터가 15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한미 산업협력 컨퍼런스'에서 기조발제를 하고 있다. 사진 박준이 기자
AD

마틴 초르젬파 피터슨 국제경제연구소 선임연구원은 한국의 고대역폭메모리(HBM) 생산 기술 보유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다만 자체 AI 모델 개발보다는 애플리케이션(앱) 개발을 통해 기존의 AI 업체들 협업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마틴 연구원은 "HBM은 AI GPU의 중요한 원동력"이라며 "챗GPT, 그록, 딥시크와 같은 글로벌 AI 모델을 훈련하는 데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이어 "자체적인 AI 모델을 갖추기 위해선 10만~20만개의 GPU 클러스터를 구축해야 하며 그 분야는 경쟁이 치열하고 비용이 많이 든다"며 "대신 기존의 AI 모델 위에 앱을 구축하는 방법은 이미 한국에서 생태계가 만들어진 분야"라고 설명했다.


특히 한국이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AI 반도체 수출통제에서 예외 적용 대상이라는 점은 언급했다. 그는 "한국은 미국에서 설계된 GPU에 규제를 받지 않고 접근할 수 있다"며 "한국이 미국 기반 AI모델을 기반으로 앱을 구축할 수 있는 기회가 있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미국 칩스법과 관련해 오히려 세액 공제의 측면에서 보조금이 확대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다만 반도체 분야에서 관세 정책이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관세가 부과되면 미국에서 AI를 학습시키는 비용이 25~30%가량 증가할 뿐 아니라 해당 시설에 투입되는 모든 품목의 가격을 인상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마이크 예 마이크로소프트 정책협력법무실 아시아 총괄대표도 "AI 분야에서 한국에 기회가 있다"며 한국에 자체 LMM(대규모언어모델) 개발과 AI 앱 개발에 집중할 것을 권장했다. 그러면서 사이버 보안과 인구 감소 문제에 대응할 자동화 솔루션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지금보다 한미간 공조를 더욱 긴밀하게 해야 한다는 제언도 나왔다. 고종완 한국반도체산업협회 전략기획실장은 "한미 간 반도체, AI 분야 간 협력을 더욱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그는 "코로나 시기 공급망의 취약성이 드러났고, 지속되는 지정학적 긴장, 자연재해 이슈는 글로벌반도체 공급망 불안정성을 높이고 있다"며 "한미 간 연대를 강화해 AI 반도체에 대한 설계부터 제조까지 안정적인 공급망 안정화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AD

고 실장은 AI 반도체 시대로 넘어가면서 기술 혁신을 뒷받침할 인력이 부족하다는 점을 지적하며 한미 양국 반도체 전문 인력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아울러 차세대 반도체 및 공정 기술에 대해 한미 양국 간 공동 연구도 필요하다고 했다. 또 미국 내 한국 생산 공장, 연구개발(R&D) 센터 구축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박준이 기자 giver@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놓칠 수 없는 이슈 픽

  • 25.04.2413:45
    홍준표 "내가 '빅1'되면 대선 판도 바뀐다"
    홍준표 "내가 '빅1'되면 대선 판도 바뀐다"

    "새로운 나라 만드는 것이 마지막 정치적 소임" 국민의힘 대선 예비후보인 홍준표 전 대구시장은 "건국 시대와 조국 근대화 시대, 민주화 시대를 지나 선진대국 시대를 열어야 한다"며 "새로운 나라를 만드는 것이 마지막 정치적 소임"이라고 각오를 밝혔다. 홍 전 시장은 지난 21일 서울 여의도 대하빌딩 선거 캠프에서 아시아경제와 인터뷰를 하고 "경선을 통해 '빅1(대선 최종 후보)'이 되면 본선 판도가 달라질 것"이라고 말했

  • 25.04.2410:40
    홍준표 "'빅1'되면 판도 바뀐다…선진대국이 마지막 소임"
    홍준표 "'빅1'되면 판도 바뀐다…선진대국이 마지막 소임"

    국민의힘 대선 예비후보인 홍준표 전 대구시장은 "건국 시대와 조국 근대화 시대, 민주화 시대를 지나 선진대국 시대를 열어야 한다"며 "새로운 나라를 만드는 것이 마지막 정치적 소임"이라고 각오를 밝혔다. 홍 전 시장은 지난 21일 서울 여의도 대하빌딩 선거 캠프에서 아시아경제와 인터뷰를 갖고 "경선을 통해 '빅1(대선 최종 후보)'이 되면 본선 판도가 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 예비후보인 이재명 전 대표와

  • 25.04.2313:51
    김경수 "압도적 정권교체 가능한 경선 만들겠다"
    김경수 "압도적 정권교체 가능한 경선 만들겠다"

    "통합의 리더십이 내 경쟁력" 더불어민주당 대선 예비후보인 김경수 전 경남지사는 대통령을 꿈꾸는 다른 경쟁자와 비교할 때 "한국 현실에 맞게 국민통합을 풀어나가는 방법을 고민하는 통합의 리더십이 강점"이라고 밝혔다. 특히 김 전 지사는 "압도적인 정권 교체가 가능한 경선으로 만들어보겠다"고 강조했다. 김 전 지사는 지난 20일 오후 9시, 영남권 순회 경선을 마치고 상경한 뒤 서울역 인근 회의실에서 아시아경제와 인터

  • 25.04.2313:22
    김경수 "통합 리더십 강점…압도적 정권교체 가능한 경선 만들겠다"
    김경수 "통합 리더십 강점…압도적 정권교체 가능한 경선 만들겠다"

    더불어민주당 대선 예비후보인 김경수 전 경남지사는 대통령을 꿈꾸는 다른 경쟁자와 비교할 때 "한국 현실에 맞게 국민통합을 풀어나가는 방법을 고민하는 통합의 리더십이 강점"이라고 밝혔다. 특히 김 전 지사는 "압도적인 정권 교체가 가능한 경선으로 만들어보겠다"고 강조했다. 김 전 지사는 지난 20일 오후 9시, 영남권 순회 경선을 마치고 상경한 뒤 서울역 인근 회의실에서 아시아경제와 인터뷰를 진행했다. 그는 이번 대

  • 25.04.2215:00
    김재연 “압도적 정권교체…후보 단일화 열려 있어”
    김재연 “압도적 정권교체…후보 단일화 열려 있어”

    진보당 대선 후보로 확정된 김재연 대표는 21일 더불어민주당·정의당 등과의 후보 단일화에 대해 "가장 중요한 전제는 내란 세력의 재집권을 무슨 수를 써서라도 막아야 한다는 것"이라며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는 것이 맞다"고 밝혔다. 김 대표는 이날 오후 국회에서 진행된 아시아경제와의 인터뷰에서 "진보당은 민주당, 조국혁신당, 정의당 등과 함께 하길 바란다"며 "원외 정당과 시민사회에도 진정성 있는 연대 제안을 하고

  • 25.04.2207:20
    '1367억' 부동산 없어도 재산 1위 안철수, 강남 아파트 김동연·한동훈·홍준표[AK라디오]
    '1367억' 부동산 없어도 재산 1위 안철수, 강남 아파트 김동연·한동훈·홍준표[AK라디오]

    편집자주대선이 본격화했다.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은 한창 경선을 하고 있다. 국민의힘은 5월 3일 후보를 결정하고, 민주당은 이르면 이달 27일 후보를 결정한다. 대선주자들의 다양한 면모를 알아보기 위해 ①대선주자와 종교 ②대선주자와 병역에 이어 ③대선주자와 재산에 대해 알아보았다. 아시아경제 유튜브 채널 AK라디오가 대선주자들의 재산을 분석한 결과 대선 후보들의 재산은 대부분 아파트와 예금으로 구성돼 있었다

  • 25.04.2107:20
    유종일 "이재명 '성장 전략 짜 달라' 전화"
    유종일 "이재명 '성장 전략 짜 달라' 전화"

    유종일 '성장과 통합' 상임공동대표가 아시아경제 유튜브 채널 'AK라디오'에 출연했다. 지난 18일 오전 9시 서울 중구 충무로 아시아경제 스튜디오에서 1시간20분 동안 진행된 인터뷰에서 유 대표는 "시장 원리를 거스르면 목표 달성도 못 하고 부작용만 커진다"고 말했다.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을 비판하며 "원자력은 꼭 필요하다. 가급적 빨리 신규 원전을 건설해야 한다"고 소신을 밝혔다. 또 "연공서열제를 개혁해야 정년

  • 25.04.1807:39
    양기대 "통합 필요한 세력 진정성 있게 껴안아야"
    양기대 "통합 필요한 세력 진정성 있게 껴안아야"

    민주당 비명(비이재명)계 전직 의원들의 모임인 '초일회' 간사인 양기대 전 국회의원이 아시아경제 유튜브 채널 'AK라디오'에 출연했다. '희망과 대안 포럼' 이사장이기도 한 양 전 의원은 "정권 교체가 중요하다"며 "제3세력 태동 가능성은 사그라들었다"고 단언했다. 그러면서 "누가 정권을 잡든 대선 이후 경제적 불평등 등에 대한 깊은 통합의 정신을 발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인터뷰는 17일 오전 9시부터 10시까지 서울 중

  • 25.04.1308:00
    테슬라 폭락에 백악관 나간다는 머스크…트럼프와 멀어지나
    테슬라 폭락에 백악관 나간다는 머스크…트럼프와 멀어지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 사이에 갈등의 골이 깊어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최측근이자 정부효율부 수장인 일론 머스크가 조만간 정부를 떠날 수 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언급한 내용으로, 지난 4일 기자회견에서 "머스크도 떠날 시점이 올 것이다. 아마 몇 달 후가 될 것 같다"라고 발언하면서 머스크의 조기 사임론이 확산되고 있다. 특히 주목할 점은 머스크가 이탈리아 극

  • 25.04.1207:00
    드론 격추하기 시작한 북한군…수세로 몰린 우크라
    드론 격추하기 시작한 북한군…수세로 몰린 우크라

    우크라이나 전쟁에 파병된 북한군이 초기 고전에도 불구하고 현대전 전술에 빠르게 적응하며 전세를 역전시키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우크라이나가 점령했던 러시아 쿠르스크 지역에서 북한군을 앞세운 러시아군의 반격으로 우크라이나군이 후퇴를 거듭하면서 자국 국경 방어에 나서야 하는 상황으로 전환됐다. 초기에는 무인기(드론) 전술에 적응하지 못해 대규모 사상자가 발생했던 북한군이 짧은기간 내에 드론 대응 전술을 익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