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집값 급등 영향 시차 두고 가계대출 반영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지난 2월과 3월 중 서울과 수도권 일부 지역의 집값이 급등한 영향이 시차를 두고 지난달 후반부터 가계대출에 반영되고 있어 면밀하게 점검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원장은 1일 오전 서울 여의도 본원에서 임원회의를 열고 "서울·수도권 일부 지역의 주택가격 및 거래량 단기 급등에 따른 영향이 시차를 두고 3월 후반부터 가계대출에 점차 반영되고 있다"며 "지역별 대출 신청과 승인, 취급 등을 보다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말했다.
금감원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전월 대비 주택 거래량 증가율은 서울 전체로는 79.0%이었지만, 강남·서초·송파는 108.7%, 마포·용산·성동은 108.0%이었다.
이 원장은 미국의 상호관세 행정명령 발표와 관련해서는 금융시장 변동성이 큰 폭으로 확대될 수 있다면서 임직원에게 경각심을 갖고 맡은바 업무에 임해달라고 강조했다.
그는 "관세정책 발표 이후에도 각국의 협상, 대응에 따라 시장 변동성 확대가 상당 기간 지속할 수 있다"며 "관세정책 및 대응 동향을 밀착 모니터링하고, 국내 경제 및 산업별 영향 등을 면밀히 점검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어 "글로벌자금이 유럽, 중국 등 국가로 이동하는 움직임도 관찰되는 만큼 우리나라도 경기 활성화 논의 진전과 주주보호 등 자본시장 선진화 추진을 통해 글로벌 투자자금이 유입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전면 재개된 공매도와 관련해서 이 원장은 "미국 증시 하락과 트럼프 관세 정책 등 복합적인 요인으로 어제 공매도 재개와 동시에 증시 변동성이 확대됐지만, 공매도는 중장기적으로 시장 변동성을 낮추는 데 기여하므로 우려가 없도록 적극적으로 설명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창환 기자 goldfis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