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
"이제 상호주의의 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다음 달 2일(현지시간) 발표하는 국가별 상호관세 정책에 예외나 면제가 없을 것이라고 백악관이 31일 재확인했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취재진을 만나 "대통령은 수십년 동안 우리나라를 갈취해 온 불공정한 무역 관행을 되돌릴 관세 계획을 발표할 것"이라며 "이제 상호주의의 시간이자 대통령이 미국인을 위해 옳은 일을 하기 위한 역사적인 변화를 가져올 때"라고 말했다.
그는 2일 상호관세 발표는 백악관 정원인 로즈가든에서 트럼프 2기 행정부 참모들이 모두 참여한 가운데 이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로즈가든은 미국 대통령과 해외 정상의 공동 기자회견 등 주요 행사에 주로 이용되는 자리다. 백악관이 이번 상호관세 발표에 그만큼 큰 의미를 두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레빗 대변인은 상호관세 부과 대상국이나 관세율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언급하지 않았다. 미 농가를 위해 일부 제품에 낮은 관세를 적용할 수 있느냐는 질문에는 "현재로서 면제는 없다"고 답했다.
레빗 대변인은 상호관세 발표 방침을 재확인하며 유럽연합(EU)의 유제품 50% 관세, 일본의 쌀 700% 관세, 인도의 농산물 100% 관세, 캐나다의 버터·치즈 300% 관세 등 다른 나라의 불공정 무역 사례를 여럿 제시했다.
그는 "이로 인해 미국산 제품이 이들 시장으로 수입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해졌다"며 "그 결과 지난 수십 년 동안 많은 미국인과 사업이 일자리(와 사업 기회)를 잃었다"고 설명했다.
호주처럼 대미 관세는 없지만 비관세 장벽이 있는 국가도 상호관세 부과 대상이냐는 질문에는 "미국인을 불공정하게 대우한 모든 국가는 관세를 예상해야 한다"고 답변했다.
레빗 대변인은 관세 불확실성으로 증시가 급락한 가운데 무역 정책을 재검토 할 수 있느냐는 질문에는 "월가는 첫 임기 때와 마찬가지로 이번 행정부에서도 괜찮을 것"이라고 말했다.
지금 뜨는 뉴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2일 철강·알루미늄 관세를 발효한 데 이어 26일에는 자동차 관세를 발표하는 등 품목별 관세를 잇달아 부과하고 있다. 이어 다음 달 2일에는 국가별 관세·비관세 장벽을 감안해 이에 상응하는 상호관세를 발표한 뒤, 이후 반도체·의약품 등 추가 품목별 관세를 연이어 내놓을 것으로 예상된다.
뉴욕(미국)=권해영 특파원 roguehy@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