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주도로 국내 대표 반도체 3사와 연구기관들이 첨단 반도체 연구와 기술 사업화를 위해 협력을 약속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7일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삼성전자, SK하이닉스, DB하이텍과 함께 반도체 첨단 연구와 기술사업화 선도를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AI 시대 글로벌 반도체 패권 경쟁 심화에 대응하고 국내 반도체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민관 협력체계 구축을 목표로 한다.
협약의 핵심은 '모아팹(MoaFab)' 플랫폼의 기능 고도화다. 모아팹은 국내 6개 반도체 공공팹 기관(나노종합기술원, 한국나노기술원, 나노융합기술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서울대 반도체공동연구소)을 연계해 연구자와 기업이 첨단장비를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통합 플랫폼이다. 기관별로 운영하던 국가 나노팹 서비스를 온라인에서 한곳에 모아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한다.
반도체 3사는 모아팹에 12인치 첨단 공정장비 지원과 함께 반도체 기술 및 팹 운영 관련 컨설팅을 제공할 계획이다. 또한 3사의 고경력 인력이 팹 운영에 참여해 전문성을 강화하고, 우수 인재 양성 및 기업 채용 연계를 통해 반도체 생태계 활성화를 도모할 예정이다.
이번 협약을 통해 모아팹을 통한 첨단 연구장비 접근성이 높아지고 중소·벤처기업과 대학 연구실의 기술 개발 역량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지금 뜨는 뉴스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은 "AI 패러다임 전환과 반도체 패권 경쟁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민·관 역량의 결집이 중요하다"며, "모아팹을 통해 산·학·연에 필요한 반도체 공정과 연구개발 시설을 제공하고, 우수 연구성과가 기업으로 이어지는 반도체 기술사업화 선순환 구조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백종민 테크 스페셜리스트 cinqang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