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변 상권도 특수 못 누려
"콘텐츠·편의시설 확대 필요"
24일 오전 찾은 청와대는 한산했다. 소규모의 중국인, 일본인 관광객들이 가이드와 함께 돌아다니고 있었고, 국내 관람객은 찾아보기 어려웠다. 프리랜서로 일하고 있는 김세원씨(32)는 "대부분이 외국인 관람객인 것 같다"며 "한 번쯤 올 만한 곳이지만, 교통도 불편하고 두 번 올 필요는 없을 것 같다"고 말했다.
윤석열 정부가 개방한 청와대의 관람객이 매년 줄어들고 있다.
27일 청와대재단에 따르면 청와대 관람객 수는 개장 첫해인 2022년에 277만6000여명으로 최고치를 찍은 뒤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지난해엔 약 191만명이 청와대를 방문해 개방 이후 처음으로 200만명대 밑으로 떨어졌다.
청와대재단 관계자는 "개방 초기 컨벤션 효과가 작용한 것과 개방 운영시간을 확대했던 상황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청와대 문화공간 조성을 위한 예산은 증가하고 있다. 올 청와대 예산은 약 370억원으로 295억원이었던 2024년보다 늘었다. 국회예산정책처 '2023 회계연도 결산 위원회별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개방 첫해인 2022년에는 96억원, 2023년엔 235억원의 예산이 책정된 바 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노후 건물 리모델링과 관람객 편의시설 설치 등을 위한 예산 반영이라고 했다.
청와대가 전면 개방되면서 주변 상권도 살아날 것으로 기대를 모았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그 효과를 체감하기 힘들다는 반응이 많다. 청와대 인근에서 한식당을 운영하고 있는 조석원씨(82)는 "청와대 직원들은 떠나고, 은행 지점 3개가 없어지고, 세 들어 살던 직원도 없어졌다"며 "개장 초기엔 평일에도 사람이 많았지만, 지금은 주말에만 손님이 좀 있는 편"이라고 했다.
청와대 관람 수요를 높이기 위해선 콘텐츠 개발과 편의시설 확대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정란수 한양대 관광학부 겸임교수는 "청와대의 대부분이 조경이나 전시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어서 한 번 가면 굳이 다시 갈 이유가 없는 게 가장 큰 문제 같다"며 "전시뿐만 아니라 음식점이나 카페에서 시간을 보낼 수 있어야 하는데, 청와대 용도상 한계가 있다"고 했다.
지금 뜨는 뉴스
정 교수는 또 "주변의 청년이나 일반 상인들이 플리마켓이나 팝업스토어 형태로 청와대 내부에 편의시설을 만들면 지역 상생과 관람객 증대 효과를 동시에 누릴 수 있다"며 "관람객이 청와대를 즐길 수 있는 콘텐츠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민간 영역과의 협업도 시도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최영찬 기자 elach1@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