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자장면에도 들어가는데…쥐에게 '암'유발, 인간은 괜찮을까[맛있는 이야기]

시계아이콘02분 04초 소요
뉴스듣기 글자크기

④인공색소, 석탄 타르에서 추출해 제조
인체 악영향 여부 두고 100년 넘게 논란
원래 15개였던 허가 색소, 지금은 9개
"쥐는 암 유발할 수도…인체는 확신 불가"

편집자주최초의 과자는 고대 메소포타미아 문명에서 발견됐다고 합니다. 과자는 인간 역사의 매 순간을 함께 해 온 셈이지요. 비스킷, 초콜릿, 아이스크림까지, 우리가 사랑했던 과자들에 얽힌 맛있는 이야기를 전해 드립니다.

과자, 젤리, 아이스크림, 소시지, 심지어 자장면에 이르기까지 우리가 즐겨 먹는 가공식품엔 ‘색소’가 들어간다. 색소 빠진 식품은 대개 흐릿하고 덜 싱싱해 보여 먹는 사람의 심리에도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색소의 건강 문제를 둘러싼 논란은 항상 끊이지 않았다. 최근 미 보건복지부(HHS)에서 식품 대기업에 '인공색소 제거'를 요구하면서 논쟁은 다시 뜨거워졌다.


자장면에도 들어가는데…쥐에게 '암'유발, 인간은 괜찮을까[맛있는 이야기] 과자, 젤리 자장면에 이르기까지 우리가 즐겨 먹는 가공식품엔 ‘색소’가 들어간다. 하지만 색소의 건강 문제를 둘러싼 논란은 항상 끊이지 않았다. 게티이미지
AD

과자부터 일반 식품까지…인공색소는 필수 재료

블룸버그 통신 등에 따르면 로버트 케네디 주니어 미국 HHS 장관은 지난달 미국의 식품 대기업 고위 간부들과의 회동에서 인공 색소를 제거할 자발적 방안을 강구해 달라고 요청했다. 회의 이후 케네디 장관은 자신의 엑스(X) 계정에 글을 올려 "우리의 음식에서 독소를 제거하겠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자장면에도 들어가는데…쥐에게 '암'유발, 인간은 괜찮을까[맛있는 이야기] 젤리는 인공 색소를 착색해 만드는 대표적인 가공식품이다. 픽사베이

인공색소는 현대 식품 가공 산업의 필수 재료다. 우리가 즐겨 먹는 거의 모든 과자나 음식엔 인공색소가 첨가된다. 인공색소는 음식물의 붉은색, 파란색, 노란색을 진하게 만드는 효과를 내며, 색소로 착색된 음식은 더 먹음직스럽고 신선해 보인다. 인공색소 없는 '본연 그대로의' 음식이 오히려 덜 건강해 보일 정도다.


하지만 인공색소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아직 합의되지 않은 영역이다. 인공색소는 현재까지 수많은 인공색소가 논쟁, 연구, 실험을 거쳐 보건당국 허가를 받거나 퇴출당하기를 반복해 왔다.

'석탄 타르'로 만든 색소, 건강에 나쁠까

색소는 1856년 영국의 화학자 윌리엄 헨리 퍼킨 경이 처음 발명했다. 최초의 색소는 석탄을 땠을 때 나오는 점액, 즉 타르에서 추출해 만들어졌다. 이후 타르를 이용한 다양한 색깔의 착색제가 발명됐고, 오늘날 우리가 먹는 인공색소도 타르색소다. 인공색소의 공식 영어 명칭도 '석탄 타르 염색제(Coal tar dye)'다.


자장면에도 들어가는데…쥐에게 '암'유발, 인간은 괜찮을까[맛있는 이야기] 석탄 타르 색소를 실험하는 미국 식품의약국(FDA) 연구원. FDA

타르 그 자체는 매우 위험한 독성 물질로, 사람의 피부에 닿거나 장기에 들어가면 치명적인 부작용을 일으킨다. 하지만 타르를 증류해 추출한 화학 물질은 다르다. 한국에선 흔히 타이레놀로 불리는 해열 진통제인 파라세타몰은 타르를 증류해 만든다. 마찬가지로 인공색소도 타르에서 추출한 벤젠, 톨루엔, 나프탈렌 등을 극소량 합성해 만든다. 각국 식품 당국은 젤리나 아이스크림, 시리얼, 소시지 한 개를 만들 때 첨가할 수 있는 인공색소의 양을 철저히 규제하고 있다.


인공색소의 독성을 둘러싼 논란은 100년 넘게 이어지고 있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1938년까지만 해도 15개의 인공색소를 허가했었다. 하지만 1950년 핼러윈 당시 오렌지색 인공색소인 'FD&C 오렌지색 1호'를 첨가한 사탕을 먹은 아이들이 단체로 병에 걸리자, 인공색소 규제는 더욱 엄격해졌다. 이후 각국 식품 당국은 과학자들과 협력해 색소에 대한 다양한 임상실험을 진행했고, 이제 세계적으로 널리 허가된 인공색소는 9개로 좁혀졌다.


개별 색소를 허가할지 여부에 대한 갑론을박도 현재진행형이다. 지난 1월 FDA는 'FD&C 적색 3호' 사용 허가를 중단했다. 실험 쥐로 진행한 임상 실험에서 적색 3호가 암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는 결과가 나오면서 취한 조처였다.


적색 3호는 1969년 처음 사용 허가를 받았지만, 나라마다 사용 가능 범위는 제각각이다. 유럽연합(EU)에선 1994년 체리류 제품의 착색 용도를 제외하면 사실상 금지했으며, 미국에서도 이미 립스틱, 로션 등 피부에 바르는 화장품엔 금지한 상태였다. 한국에선 과자, 사탕, 껌, 빙과, 일부 음료에 제한적으로만 허용된다.

혼란의 원인은 데이터 부족

자장면에도 들어가는데…쥐에게 '암'유발, 인간은 괜찮을까[맛있는 이야기] 유럽연합(EU)에서 FD&C 적색 3호 색소는 체리 빛깔을 더 선명하게 만들 때 투입된다. 게티 이미지

인공색소 논란이 계속되고 있는 것은 소비자 입장에서 인공색소의 인체 영향 유무, 적정 섭취량 등을 확신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데이터 부족에서 인공색소를 둘러싼 혼란이 생기는 것이다.


적색 3호의 암 유발 가능성을 처음 규명한 과학자는 조셉 보르젤레카 미 버지니아커먼웰스대 독성학 교수로, 그는 타르 추출 색소가 실험 쥐의 암을 유발한다는 상관관계를 규명해 2001년 미 버지니아주로부터 평생공로상을 받은 인물이다. 하지만 정작 보르젤레카 교수는 인공색소가 사람에게도 암을 유발하는지 알 수 없다고 말한다.


AD

그는 지난 1월 미국 과학 대중지 '사이언티픽 아메리카'와의 인터뷰에서 암을 일으키는 쥐의 특정 유전자가 인간에게는 없다는 점을 설명하며 "적색 3호가 쥐에게 암을 유발하는 기전이 인간에게 똑같이 일어나지 않는다"고 했다. 그는 "(인간에게) 문제가 있다고 여겼다면 논문에서 언급했을 것"이라며 "저와 가족은 그동안 적색 3호를 섭취해 왔고, 아무런 문제가 없었다"라고 전했다.




임주형 기자 skepped@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놓칠 수 없는 이슈 픽

  • 25.06.2306:50
    ⑤'1호 VC' 아주IB투자, 올해 바이오 회수 눈길
    ⑤'1호 VC' 아주IB투자, 올해 바이오 회수 눈길

    편집자주이재명 정부는 적극적인 벤처 육성 의지를 보이고 있다. 대대적인 규제 완화와 예산 확대가 예상된다. 벤처캐피털(VC)이 주목받고 있다. 이들이 향후 벤처 육성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특히 상장 VC들에 관심이 쏠린다. 이들 상장 VC는 앞서 벤처 예산이 급증했던 2021년에 일제히 사상 최고가를 기록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한 몸에 받은 바 있다. 이에 아시아경제는 주요 상장 VC들의 강점

  • 25.06.2006:40
    ④ 유니콘 '탑승자' 아닌 '동반자', 캡스톤파트너스
    ④ 유니콘 '탑승자' 아닌 '동반자', 캡스톤파트너스

    편집자주편집자주 = 이재명 정부는 적극적인 벤처 육성 의지를 보이고 있다. 대대적인 규제 완화와 예산 확대가 예상된다. 벤처캐피털(VC)이 주목받고 있다. 이들이 향후 벤처 육성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특히 상장 VC들에 관심이 쏠린다. 이들 상장 VC는 앞서 벤처 예산이 급증했던 2021년에 일제히 사상 최고가를 기록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한 몸에 받은 바 있다. 이에 아시아경제는 주요 상장

  • 25.06.1906:52
    ③미래에셋벤처, 新정부 AI정책 최대 수혜주로 부상
    ③미래에셋벤처, 新정부 AI정책 최대 수혜주로 부상

    편집자주이재명 정부는 적극적인 벤처 육성 의지를 보이고 있다. 대대적인 규제 완화와 예산 확대가 예상된다. 벤처캐피털(VC)이 주목받고 있다. 이들이 향후 벤처 육성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특히 상장 VC들에 관심이 쏠린다. 이들 상장 VC는 앞서 벤처 예산이 급증했던 2021년에 일제히 사상 최고가를 기록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한몸에 받은 바 있다. 이에 아시아경제는 주요 상장 VC들의 강점

  • 25.06.1806:50
    ②유니콘 성장 이끈 LB인베스트먼트…AI 집중 투자
    ②유니콘 성장 이끈 LB인베스트먼트…AI 집중 투자

    편집자주이재명 정부는 적극적인 벤처 육성 의지를 보이고 있다. 대대적인 규제 완화와 예산 확대가 예상된다. 벤처캐피털(VC)이 주목받고 있다. 이들이 향후 벤처 육성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특히 상장 VC들에 관심이 쏠린다. 이들 상장 VC는 앞서 벤처 예산이 급증했던 2021년에 일제히 사상 최고가를 기록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한 몸에 받은 바 있다. 이에 아시아경제는 주요 상장 VC들의 강점

  • 25.06.1706:50
    BTS 데뷔 전 하이브에 40억 투자 '1080억' 회수한 SV인베…또 대박 날까①
    BTS 데뷔 전 하이브에 40억 투자 '1080억' 회수한 SV인베…또 대박 날까①

    편집자주이재명 정부는 적극적인 벤처 육성 의지를 보이고 있다. 대대적인 규제 완화와 예산 확대가 예상된다. 벤처캐피털(VC)이 주목받고 있다. 이들이 향후 벤처 육성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특히 상장 VC들에 관심이 쏠린다. 이들 상장 VC는 앞서 벤처 예산이 급증했던 2021년에 일제히 사상 최고가를 기록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한몸에 받은 바 있다. 이에 아시아경제는 SV인베스트먼트를 시작

  • 25.06.2307:00
    윤상현 "국가 백년대계 걸린 청문회, 초당적 개혁 나서야"
    윤상현 "국가 백년대계 걸린 청문회, 초당적 개혁 나서야"

    편집자주인재를 적재적소에 활용하는 것은 국가 운영의 성패와 직결한다. 인사가 만사라는 말은 괜히 나온 얘기가 아니다. 문제는 인재를 쓰고 싶어도 쓰기 어려운 현실이다. 인재를 찾아내 중요한 역할을 맡겨 보려 해도 본인이 고사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공직자 검증을 위해 마련된 제도가 인재 등용을 차단하고 있는 현실과 무관하지 않다. 사생활 검증이 역량 검증에 우선해서는 곤란하다. 공직자 본인은 물론이고, 배우자와

  • 25.06.2007:00
    정성호 "최고의 에이스가 국정운영 참여할 수 있게 해야"
    정성호 "최고의 에이스가 국정운영 참여할 수 있게 해야"

    편집자주인재를 적재적소에 활용하는 것은 국가운영의 성패와 직결한다. 인사가 만사라는 말은 괜히 나온 얘기가 아니다. 문제는 인재를 쓰고 싶어도 쓰기 어려운 현실이다. 인재를 찾아내 중요한 역할을 맡겨 보려 해도 본인이 고사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공직자 검증을 위해 마련된 제도가 인재 등용을 차단하고 있는 현실과 무관하지 않다. 사생활 검증이 역량 검증에 우선해서는 곤란하다. 공직자 본인은 물론이고, 배우자와 자

  • 25.06.1907:00
    野일 땐 '강화' 與일 땐 '침묵'…개선 없는 인사청문회
    野일 땐 '강화' 與일 땐 '침묵'…개선 없는 인사청문회

    인사청문회 무용론이 수년째 반복되고 있지만 국회 차원에서의 개선 논의는 미미하다. 인사청문회 제도가 운영된 지난 25년 동안 200건이 넘는 개정안이 발의됐으나 통과된 것은 단 8건에 불과하다. 야당일 때는 인사청문회 제도 강화를 외치다가도, 여당이 되면 소극적으로 변하는 한국 정치 지형 탓이다. 검증보다는 흠집 내기에 치중하는 인사청문회가 지속되는 이유다. 19일 의안정보시스템에 따르면 2000년 6월 인사청문회법이

  • 25.06.1907:00
    사전검증 철저한 美…한국은 '고무줄' 잣대
    사전검증 철저한 美…한국은 '고무줄' 잣대

    편집자주인재를 적재적소에 활용하는 것은 국가운영의 성패와 직결한다. 인사가 만사라는 말은 괜히 나온 얘기가 아니다. 문제는 인재를 쓰고 싶어도 쓰기 어려운 현실이다. 인재를 찾아내 중요한 역할을 맡겨 보려 해도 본인이 고사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공직자 검증을 위해 마련된 제도가 인재 등용을 차단하고 있는 현실과 무관하지 않다. 사생활 검증이 역량 검증에 우선해서는 곤란하다. 공직자 본인은 물론이고, 배우자와 자

  • 25.06.1807:00
    능력 제쳐두고 후보자 흠결만 찾아... 인사청문회 공포만 키워
    능력 제쳐두고 후보자 흠결만 찾아... 인사청문회 공포만 키워

    편집자주인재를 적재적소에 활용하는 것은 국가운영의 성패와 직결한다. 인사가 만사라는 말은 괜히 나온 얘기가 아니다. 문제는 인재를 쓰고 싶어도 쓰기 어려운 현실이다. 인재를 찾아내 중요한 역할을 맡겨 보려 해도 본인이 고사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공직자 검증을 위해 마련된 제도가 인재 등용을 차단하고 있는 현실과 무관하지 않다. 사생활 검증이 역량 검증에 우선해서는 곤란하다. 공직자 본인은 물론이고, 배우자와 자

  • 25.06.2308:55
    이언주 "이대로 가면 산업공동화 위기, 빨리 산업 전환 해야"
    이언주 "이대로 가면 산업공동화 위기, 빨리 산업 전환 해야"

    이언주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이 지난 19일 아시아경제 시사 유튜브 'AK라디오'에 출연했다. 3선 의원으로 '경제통'인 이 의원은 민주당 미래경제성장전략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다. 이 의원은 "지금 한국 경제는 추락 직전 낭떠러지에 있는 것과 같다"고 진단하며 "주력 산업을 빠르게 재구조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함부로 증세해서는 안 된다"면서 "민생회복지원금을 빨리 집행해야 한다. 물가 상승을 걱정할 때가 아니다

  • 25.06.2208:00
    추가파병으로 러와 밀착하는 北…中 부담느끼는 이유
    추가파병으로 러와 밀착하는 北…中 부담느끼는 이유

    북한이 러시아에 6000명 규모의 공병 부대를 추가로 파견하기로 하면서 동북아 정세에 새로운 변수가 등장했다. 이미 1만4000여명의 전투 부대를 파병한 상황에서 추가 파병이 이뤄지면 총 2만명 이상의 북한군이 러시아에 파병된다. 국제사회가 대북제재 위반이라며 목소리를 높이는 가운데, 중국도 상당히 불편한 기색을 내비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이번에 파견되는 북한 공병 부대는 전투보다는 점령지 방어에 집중할

  • 25.06.2109:00
    이스라엘의 이란 타격, '라이징 라이언' 작전…北 긴장시킨 이유
    이스라엘의 이란 타격, '라이징 라이언' 작전…北 긴장시킨 이유

    이스라엘이 이란을 대상으로 한 군사작전에 '라이징 라이언(Rising Lion·일어서는 사자)'이라는 작전명을 붙이면서 그 배경과 의미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 작전명은 구약성경 민수기 23장 24절에서 따온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구절은 "백성이 암사자 수사자 같이 일어나서 잡힌 것을 먹고 죽은 것의 피를 마시기 전에는 눕지 않을 것이다"라는 내용을 담고 있다. 사자는 고대부터 이스라엘 왕국의 상징이었으며, 이번 작전명

  • 25.06.1506:00
    결별과 화해 반복하는 트럼프와 머스크, 재결합하나
    결별과 화해 반복하는 트럼프와 머스크, 재결합하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의 관계가 극적인 변화를 겪고 있다. 취임 초기 '브로맨스'로 불릴 정도로 가까웠던 두 사람은 극심한 갈등을 거쳐 최근 다시 화해 국면으로 접어들었다. 이들의 관계 변화는 단순한 개인적 불화를 넘어 미국 정치와 산업계 전반에 큰 파장을 미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과 머스크의 관계는 2024년 대선 당시 절정에 달했다. 머스크는 트럼프 대통령을 전적으로 지원하며 선거 승리에

  • 25.06.1408:00
    트럼프가 가로막은 하버드 유학…美 대학 전역으로 퍼지나
    트럼프가 가로막은 하버드 유학…美 대학 전역으로 퍼지나

    트럼프 행정부가 하버드대학교를 겨냥한 전방위적 압박에 나서면서 전 세계 유학생들 사이에 큰 혼란이 일고 있다. 표면적으로는 중국 공산당과의 연계를 문제 삼고 있지만, 실제로는 하버드대의 진보적 성향과 반유대주의 시위에 대한 정치적 공세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몇 주간 세 차례에 걸쳐 하버드 대학교 유학생 등록을 막고 비자 발급을 취소하려 했지만, 매번 미국 연방법원의 제동에 부딪혔다. 하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