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허청이 바이오 분야 ‘특허 패스트트랙’을 완성해 가동한다. 패스트트랙은 전담 조직 신설 및 인력 배치를 통한 고품질 심사 지원과 우선심사 대상 지정에 따른 심사 처리기간 단축을 핵심 목표로 운용된다. 이를 통해 기업 등 바이오 분야 특허 출원인은 2개월 이내에 심사결과를 받아볼 수 있게 돼 신속한 특허권 확보로 글로벌 경쟁력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허청은 바이오 분야 전담 심사조직이 출범했다고 10일 밝혔다. 전담 심사조직은 디지털 융합 심사국에 있던 기존 ‘바이오헬스케어심사과’를 ▲바이오 기반 심사과 ▲바이오 진단 분석 심사팀 ▲바이오 의약 심사팀 ▲헬스케어기기 심사팀 ▲헬스케어 데이터 심사팀 등 5개 과로 세분하고, 인력 120명을 배치해 바이오 산업 생태계 전 분야에서 전문적인 심사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출범했다.
바이오 분야는 국내 국가첨단전략기술이자 미래 핵심 성장 동력으로 꼽힌다. 바이오 관련 세계 시장규모가 2027년 3조3000억달러에 육박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다만 바이오 분야는 연구개발(R&D)에 막대한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고, 소수의 우수 특허만으로도 제품화와 수익 창출 그리고 장기간 시장 지배가 가능한 특징을 가져 선제·전략적 특허권 확보를 위한 기업의 신속한 심사 서비스 요구가 높다.
이를 반영하듯 최근 5년간 생명공학과 헬스케어 등 국내 바이오 분야의 특허출원은 연평균 8.2% 성장해 전체 특허출원 연평균 증가율 2.3%를 3.5배 웃돌았다.
특허청은 바이오산업 분야의 신속한 심사 서비스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지난달 민간 바이오 분야 전문가 35명을 특허 심사관으로 채용하고, 바이오 분야를 우선심사 대상으로 지정한 데 이어 전담 심사조직 신설로 바이오 분야의 특허 패스트트랙을 완성했다.
이 과정에서 특허청은 신규 채용한 35명의 심사관과 기존 심사국에 흩어져 활동하던 바이오 분야 심사관 85명을 전담 심사조직에 집중적으로 배치해 보다 효율적이고 일관된 특허 심사가 가능하도록 했다. 120명의 바이오 분야 심사관이 심사 역량을 결집해 협의 심사 등으로 심사 품질을 높이도록 한 것이다.
무엇보다 특허청은 바이오 분야를 우선심사 대상에 포함시켜 기존에 18.9개월 소요되는 심사처리기간을 2개월로 단축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함으로써 국내 바이오산업의 신속한 특허권 확보와 이를 통한 글로벌 경쟁력 강화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지금 뜨는 뉴스
김완기 특허청장은 “바이오 분야 전담 조직 신설 등 특허 패스트트랙 완성을 토대로 국내 기업이 세계 시장에서 우위를 점하는 발판 마련에 나설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대전=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