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미국과의 무역전쟁 격화 속에서도 올해 경제 성장률 목표를 '5% 안팎'으로 설정했다. 재작년, 작년과 동일한 목표치로, 내수 진작과 추가 경기 부양을 통해 무역전쟁을 극복하려는 것으로 풀이된다.
5일 리창 중국 국무원 총리는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업무보고에서 "중국 경제의 장기적 긍정 추세는 변하지 않을 것"이라며 자신감을 드러냈다. 선단양 국무원 연구실 주임도 작년 4분기 성장률 5.4%, 2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 지표 개선, 활발한 문화관광 소비 등을 근거로 목표 달성 가능성을 강조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최근 중국산 제품에 총 20%의 추가 관세를 부과했고, 세계 주요 기관은 중국 성장률을 4.5~4.6%로 전망하고 있다. 중국 정부도 올해 소비자물가지수(CPI) 목표를 약 20년 만에 가장 낮은 2%로 설정해 디플레이션 압력을 의식하는 것으로 보인다.
중국은 적극적인 재정정책으로 대응할 계획이다. 재정 적자율을 국내총생산(GDP)의 4%로 확대하고, 1조3000억위안 규모의 초장기 특별국채와 5000억위안의 별도 특별국채를 발행한다. 지방정부 특수목적 채권도 4조4000억위안으로 늘린다.
특히 내수 진작을 최우선 과제로 삼아, 낡은 제품 교체 지원에 3000억위안을 배정하고, 휴가제도 최적화로 소비 잠재력을 끌어올릴 계획이다. 업무보고에서 '소비'는 31번 언급돼 지난해 21번보다 많이 증가했다.
지금 뜨는 뉴스
또한 인공지능(AI) 기술혁신과 민영경제 촉진도 강조했다. 'AI+ 행동'을 지속 추진하고, 양자 기술, 체화 지능, 6G 등 미래 산업을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민영기업 보호와 외국인 투자 확대를 위해 통신, 의료, 교육 분야의 해외 투자 접근성도 확대할 예정이다.
김대현 기자 kd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