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단계로 대전조차장 대전철도차량정비단 동측으로 이전
2단계로 38만㎡ 부지 중 남아있는 선로 데크화 시공
중앙부처, 유관기관, 자치구와 공동협력체계 구축
대전조차장 이전·개발계획이 ‘철도입체화 국가 선도사업’으로 선정됨에 따라 대전시는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전략 마련에 나섰다.
27일 대전시에 따르면 대전조차장은 지난 1978년 대덕구 읍내동 426번지 일원 48만 3940㎡(14만6000평) 부지에 조차장역과 함께 열차 연결 및 경정비 시설로 건립됐다. 하지만 도심이 확장하면서 대덕구 대화동과 중리동으로 동서가 단절돼 발전의 걸림돌로 작용하며 40여년간 주민 불편 민원이 끊이지 않아 지자체와 지역 정치권의 이전 건의에도 사업 추진이 요원한 상황이었다.
40여년 만에 국책사업으로 추진되는 대전조차장 이전·개발사업은 1단계로 현재의 대덕구 읍내동에 위치한 대전조차장을 대덕구 상서동 13-4번지 일원(16만 9500㎡) 현재의 대전철도차량정비단 동측지역으로 이전할 계획이다.
2단계인 조차장 이전에 따른 잔여 철도시설 및 가용부지 개발계획(안)으로는 선로 이설이 완료되면 사용 가능한 약 38만㎡(국유지 70%, 공사공단 27% 소유) 부지 중 남아있는 경부선 상·하행선, 호남선 상·하행선에 대한 데크화(철도덮개공원)를 시공하게 된다.
이와 함께 새로운 도심 공간으로 창조되는 약 26만㎡ 부지에는 충청권광역철도와 도시철도 2호선(수소트램)이 환승하는 인근 오정역 신설을 차질 없이 추진하고 주변의 산단, 대덕특구, 도심 재생 인프라를 적극 활용해 대전 최고의 업무·주거·문화·교통이 어우러진 청년창업·IT 기반의 첨단특화지구로 탈바꿈시킨다는 복안이다.
이를 위해 시는 중앙부처, 유관기관, 자치구와의 공동협력체계를 구축, 국토부와 국가철도공단·한국철도공사는 대전조차장 이전 및 대체지 조성을 담당하고, 대전시는 철도부지 가용부지 개발 기본계획을 수립할 방침이다.
시는 기본계획 수립 시 대전의 성장잠재력을 최대한 끌어낼 수 있도록 사업을 최적화하고, 향후 부지 조성·매각 외 직접 건축·분양을 통한 사업성 제고 방안도 적극 반영할 계획이다.
지금 뜨는 뉴스
이택구 대전시 경제과학부시장은 “조차장 이전 개발사업이 미래 100년을 내다보는 대전 발전의 마중물이 되고, 조기 가시화할 수 있도록 모든 행정력을 집중해 착실히 준비해 나가겠다”면서 “동서 단절 해소, 지역 균형발전 및 도심 재생 촉진 등 다양한 파급 효과를 목표로 철도입체화의 전국적 롤모델이 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충청취재본부 박종명 기자 cmys0410@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