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급 순이익 거뒀지만 K-ICS 비율 부진
금융당국 권고치 겨우 넘겨…개선 필요
현대해상이 지난해 1조원을 웃도는 순이익을 거뒀음에도 배당 미지급과 낮은 자본비율 영향으로 주가가 정체돼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24일 NH투자증권은 이같은 배경에 현대해상의 목표주가를 3만5000원으로 10.3% 낮췄다. 전거래일 종가는 2만4000원이었다. 보험계약마진(CSM) 잔액이 감소하면서 상각이익을 축소했고, 자동차보험 업황 악화를 손익에 반영한 결과라는 설명이다.
다만 투자의견 '매수'는 유지했다. 연 1조원 이상의 순이익을 보여주는 주요 손해보험사임에도 주가수익비율(PER)이 2배에 불과해 경쟁사 대비 기업가치평가(밸류에이션) 할인이 큰 편이라는 이유에서다. 정부가 추진하는 비급여, 실손 제도 개혁이 제대로 진행되면 경쟁사 대비 재무적 수혜도 더 클 것으로 내다봤다. 지난해 현대해상의 순이익은 1조30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3.4% 오르면서 역대 최대 기록을 썼다.
반면 보험사 건전성 지표인 지급여력비율(K-ICS)은 지난해 말 기준 155.8%로 전년 말 대비 17.4%포인트 감소했다. 금융당국의 권고치 150%를 겨우 넘긴 것이다. 금융당국의 무·저해지 보험 해지율 가이드라인 영향이 크다는 분석이다. 해지율을 보수적으로 가정하면서 가용자본이 줄어든 것이다. 다만 올해는 추가 가정 규제가 없다면 CSM 잔액이 늘어나고 비율 방어가 가능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그 밖에도 시장금리 하락, 보험부채 할인율 인하 등도 지급여력비율을 끌어내렸다.
지금 뜨는 뉴스
현대해상은 후순위채 발행 등으로 자본비율을 방어할 계획이다. 정준섭 NH투자증권 연구원은 "회계 제도로 인한 배당가능이익 부족이 배당 미지급과 주가 약세의 가장 큰 이유"라며 "업계가 금융당국과 개선 방안을 논의 중인 만큼 추후 개선 여지가 존재한다"라고 설명했다.
이민우 기자 letzwi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