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서초구 CCTV 삭제에 "재정비 필요"
명태균 논란에는 "구체적 대응은 자제"
오세훈 서울시장이 12·3 비상계엄 당시 군이 서울시 폐쇄회로(CC)TV의 영상정보를 대거 열람했다는 논란에 "계엄·탄핵 국면이 지나고 나면 한번은 정리해야 한단 생각을 갖고 있다"고 밝혔다. 당시 영상을 보존해달라는 서울시의 요청을 따르지 않은 용산구와 서초구에 대해서는 유감을 표했다.
오 시장은 21일 서울시의회 시정질문에 참석, 해당 논란과 관련한 사후 조치가 있느냐는 박수빈(더불어민주당·강북4) 의원의 질문에 "그것이 어떻게 군사작전에 활용됐는지 정확히 알지 못하나 (군이) 자동으로 들어와 볼 수 있게 돼 있다는 것을 사후에 보고받았다"며 이같이 말했다.
오 시장은 사후적으로 목적에 맞는 접속이었는지를 점검해야 한다는 박 의원 지적에 "동의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국가비상사태 등 급박한 사정의 경우 사전 절차를 만드는 것이 신속한 대응에 도움이 될지를 심도 있게 들여다보고 대안을 마련해야 바람직할 것"이라며 "사후에 규제가 작동하는 경우도 많다.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간에 신중하게 논의해야 할 사안"이라고 밝혔다.
용산구와 서초구가 계엄 당일 CCTV 영상정보를 보존하라는 서울시의 요청을 따르지 않은 것에 대해서는 "시가 요청했다면 당연히 협조 관계가 이뤄져야 하는데 그 점을 도외시하고 바로 삭제했다는 이야기를 듣고 놀랐다"며 "추후 협조체계를 재정비해야 하지 않나 생각한다"고 답했다.
앞서 서울시는 지난해 12월 5번에 걸쳐 8개 자치구에 계엄 당일 CCTV 영상을 보존해 달라고 요청했다. 하지만 용산구와 서초구는 이 요구에 응하지 않았고 자동 보존 기간인 30일이 지나 현재는 영상은 모두 삭제됐다.
오 시장은 비상계엄 사태에 연루된 의혹이 불거진 박현수 치안감을 서울경찰청장으로 승진 내정한 인사가 적절했느냐는 질문엔 "임명 전과 후에 수사기관의 조사가 있었으나 특별한 사항이 밝혀지지 않은 것으로 들었다"고 말했다. 서울경찰청장 임명은 경찰청이 서울시 자치경찰위원회와 협의하는 절차를 거친다.
지금 뜨는 뉴스
이밖에 오 시장은 '명태균 의혹'과 관련해선 "하나하나 대응하다 보니 저에게 해코지하고 싶어 하는 명태균의 전략에 말려든 느낌이라 구체적으로 대응은 자제하고 있다"는 입장을 내놨다. 다만 "지금도 검찰에 매주 수사를 촉구하는 중이라는 점을 참조해 달라"고 강조했다.
배경환 기자 khba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