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관세 부과로 세수가 확대되면 소득세를 폐지할 수 있다고 20일(현지시간) 주장했다.
이날 미 ABC뉴스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워싱턴DC에서 열린 공화당 주지사협회 만찬에서 상호관세를 부과하는 계획을 설명하며 "이 문제가 해결되면 소득세 시스템을 보유할 필요가 없게 될지도 모른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어느 국가인지 밝히지 않았으나 한 나라의 수입품에 부과하는 관세를 통해 연간 최소 600억달러(약 85조9980억원)를 거둬들일 수 있다고 했다.
이어 보호무역주의자 윌리엄 매킨리 전 대통령을 언급하며 "매킨리는 '관세 사나이'였으며, 그는 다른 나라가 들어와서 약탈하도록 내버려 두어서는 안 된다고 믿었다"고 말했다.
미국·멕시코·캐나다무역협정(USMCA)을 체결한 멕시코 내 생산 기지로 무관세 대미 수출을 해온 제3국 기업을 향한 경고 메시지도 보냈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들은 디트로이트(미국의 자동차 생산 중심지)를 죽이고 있었는데, 이제는 완전히 반대 상황이 됐다"고 강조했다. 캐나다를 향해서는 "(미국에 수출하는) 자동차, 목재, 석유, 가스 등에 대해 관세를 내야 할 것"이라며 "미국의 51번째 주(州)가 돼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또 브릭스(BRICS) 국가들에겐 "어느 브릭스 국가든 '달러 파괴'를 거론만 해도 150% 관세가 부과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린란드와 파나마에 대해서도 소유 의지를 보였다.
지금 뜨는 뉴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열린 '흑인 역사의 달(2월)' 리셉션 참석자들 앞에서 "내가 다시 출마해야 하나"라며 3선 도전 의사를 비쳤다. 참석자들이 "4년 더"를 외치자 미소를 지었다. 다만 미 수정헌법 제22조는 대통령 임기를 두 번으로 제한한다.
오수연 기자 syo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