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호관세 조치 대응을 위한 업종별 협·단체 회의
박종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차관보는 "한국의 비관세조치로 인해 상호관세가 부과될 경우 우리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관계부처 및 업계와 긴밀히 소통해 대응 전략을 모색하고 대(對)미 협의를 진행해 나가겠다"고 14일 밝혔다.
이날 산업부는 박 차관보 주재로 13일(현지시간) 발표된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 검토에 대한 우리 업계 영향을 점검하고 대응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섬유센터에서 업종별 협·단체 및 경제단체를 대상으로 회의를 개최했다.
산업부는 미국이 무역 상대국이 미국 제품에 부과하는 관세뿐만 아니라 세금(부가가치세 등)과 보조금, 환율, 불공정 관행 등 비관세조치도 고려해 검토 후 국가별 상호관세 부과 등의 조치를 시행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지금 뜨는 뉴스
박 차관보는 "2012년 발효된 한미 FTA에 따라 우리나라와 미국은 대부분의 수입품에 대해 상호 무관세를 적용하고 있다"며 "정부는 가용한 채널을 총동원해 미국의 통상 동향 등을 면밀하게 모니터링하고, 한국 수출 기업의 경쟁력 확보를 위한 지원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세종=주상돈 기자 do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