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명 LG에너지솔루션 사장이 올해 사업 환경도 어려울 것으로 예측하고 전기차 캐즘(성장 산업의 일시적 수요 정체)도 내년 이후 회복할 것이라고 봤다.
2일 김 사장은 신년사에서 "'미래 성장을 위한 전환점'의 한 해로 만들어 갑시다"라고 운을 뗀 뒤 "지난해 실적 면에서는 전례없이 힘든 시간을 보냈고 외부요인도 있었지만 변화에 대처할 수 있는 근본 경쟁력을 확보하지 못했던 탓이 크다"고 진단했다.
이어 "시장 변화에 맞춰 투자의 효율성을 높이고, 조직 체계와 비용 구조를 획기적으로 개선해야 한다"며 "올해는 의미 있는 수익창출이 매우 어려운 상황으로 단기적인 비용 절감 활동도 꼭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시장은 전기차와 내연기관차의 가격이 같아지는 '프라이스 패러티(Price Parity·등가)' 시점이 다가오고 있다고 봤다. 프라이스 패러티 시점은 2026-2027년이 될 것이라는 설명이다. 그는 "전기차 가격의 내연기관차 등가 달성과 주행거리·충전·안전성 우려 해소로 수요를 조금씩 회복해 중장기 성장은 지속될 것"이라며 "올해는 우리에게 '미래 성장의 전환점'이 될 수 있는 중요한 시기로 ‘질적 성장을 통한 기업가치 일등’이라는 엔솔 2.0의 기반을 다지는 한 해로 만들어야 한다"고 밝혔다.
올해 4대 핵심 과제 추진 계획도 밝혔다. ▲R&D(연구개발) 경쟁력 제고 ▲고객의 기대를 뛰어넘는 제품·품질 경쟁 우위 ▲구조적 원가 경쟁력 강화 ▲미래 기술·사업 모델 혁신 등이다.
지금 뜨는 뉴스
김 사장은 "LG에너지솔루션은 배터리 업계에서 '최초', '최고'의 역사를 만들어 온 저력이 있다"며 "한 걸음 더 나아가고, 더 높이 오르는 2025년을 함께 만들어가자"고 말했다.
정동훈 기자 hoon2@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