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테라·루나'가 안전하다고 투자자들을 오도한 혐의로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조사를 받던 점프 크립토 측이 약 1억2300만달러(약 1803억원)를 과징금 등으로 내는 조건에 SEC와 합의했다.
25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SEC가 점프 크립토 홀딩스의 100% 자회사인 타이모샨(Tai Mo Shan)에 이 같은 조치를 내리고 사건을 종결하는 데 양측이 합의했다고 보도했다.
최근 SEC가 공개한 보도자료에 따르면 타이모샨이 내야 할 돈은 부당이익금 환수 7345만달러, 판결 전 이자 1292만달러, 과징금 3673만달러 등이다.
개리 겐슬러 SEC 위원장은 성명을 통해 "암호화폐 시장에서 사기로 대규모 투자자 손실이 발생한 사례가 지나치게 많다"며 "암호화폐 시장 참가자들은 적용되는 증권 관련 법규가 있다면 이를 준수해야 하며, 대중을 기만하지 말아야 한다"고 밝혔다. 겐슬러 위원장은 내년 1월 물러날 예정이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은 후임 SEC 위원장에 친 가상화폐 인사 폴 앳킨스 전 SEC 위원을 지명했다.
점프 측은 "SEC가 디지털 자산 업계에 대해 전례 없는 '법 집행에 의한 규제'라는 접근방식을 택한 점에는 깊은 좌절감을 느끼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문제를 해결하게 돼 기쁘다"고 말했다.
타이모샨은 2021년 5월 테라 가치가 기준치 밑으로 떨어지자 2000만달러를 들여 매입해 가격을 받쳐준 적 있다. 당시 테라·루나 사태의 주범인 권도형 씨와 그의 암호화폐 기업 테라폼랩스는 타이모샨이나 점프 크립토 측의 개입 사실을 밝히지 않고 "테라가 자체적으로 가치를 회복하는 능력이 있다는 증거"라고 주장했다. 점프 크립토 측은 루나를 팔아치워 약 10억달러의 이익을 봤다. 이후 2022년 5월 루나는 며칠 만에 가격이 99% 넘게 폭락했고 시가총액 400억달러 규모의 손실이 발생했다.
지금 뜨는 뉴스
WSJ은 트럼프 당선인의 대선 승리 이후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 가격이 다시 오르고 투자자들이 암호화폐 시장으로 모여들고 있다고 밝혔다. 또 점프 사례는 암호화폐 수익의 상당수가 일반 투자자가 아닌 거래 회사에 귀속된다고 지적했다.
오수연 기자 syo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