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8살 한강 "사랑이란 우리 가슴 사이를 연결해주는 금실"

시계아이콘01분 27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한강, 스웨덴 한림원에서 노벨문학상 수상 강연
"장편소설 쓸 때 질문들 견디며 그 안에 살아"

사랑이란 어디 있을까? 팔딱팔딱 뛰는 나의 가슴 속에 있지.

사랑이란 무얼까? 우리의 가슴과 가슴 사이를 연결해주는 금실이지.


소설가 한강이 여덟 살 때인 1979년에 쓴 시다. 한강은 지난해 1월 이사를 위해 창고를 정리하던 중 여덟 살 때 쓴 자신의 시를 발견했다. 낡은 구두상자 속에서 자신이 여덟 살 때 손수 만든 시집을 발견한 것이다.


A5 크기의 갱지 다섯 장을 스테이플러로 찍어 중철 제본한 표지에 어엿하게 '시집'이라고까지 적은 책자에는 여덟 편의 시가 담겨있었다. 여덟 살 소녀 한강이 서울로 이사를 앞두고 보물 같은 자신의 시를 정성껏 정리해 보관한 것이다. 여덟 살 한강은 1980년 1월 광주를 떠나 서울로 이사했다.


2024 노벨문학상 수상자 한강은 7일 오후(한국시간) 스웨덴 한림원에서 지난해 이사하던 중 자신이 여덟 살 때 쓴 시를 발견한 일화를 소개하며 노벨문학상 수상 기념 강연을 시작했다. 그는 여덟 살 때 자신의 쓴 시를 보며 "그 여덟 살 아이가 사용한 단어 몇 개가 지금의 나와 연결돼 있다고 느꼈다"고 말했다.

8살 한강 "사랑이란 우리 가슴 사이를 연결해주는 금실" 소설가 한강이 7일 오후(현지시간) 스웨덴 한림원에서 2024 노벨문학상 수상 기념 강연을 하고 있다. [사진 제공= AFP연합뉴스]
AD

강연에서 한강은 미리 준비한 '빛과 실'이라는 제목의 원고를 차분한 목소리로 읽었다.


30여분간 이어진 강연에서 한강은 자신의 소설 다섯 편 '채식주의자' '바람이 분다, 가라' '희랍어 시간' '소년이 온다' '작별하지 않는다'를 쓴게 된 과정과 그 내용을 소개했다.


한강은 시와 단편소설을 쓰는 일도 좋아하지만 짧게는 1년, 길게는 7년이 걸리는 장편소설을 쓰는 일이 특별히 매혹적이라고 했다. 그는 장편소설을 쓰는 동안 자신이 질문 속에 산다고 말했다.


한강은 "장편소설은 내 개인적 삶의 상당한 기간들과 맞바꿈 된다"며 "맞바꿔도 좋다고 결심할 만큼 중요하고 절실한 질문들 속으로 들어가 머물 수 있다는 것 좋다"고 했다. 이어 "하나의 장편 소설을 쓸 때마다 질문들을 견디며 그 안에 산다"며 "(질문에 대한) 대답을 찾아낼 때가 아니라 그 질문들의 끝에 다다를 때, 그 소설을 완성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한강은 세 번째 장편소설인 채식주의자를 쓰던 2003년부터 2005년까지 '한 인간이 완전하게 결백한 존재가 되는 것은 가능한가' '우리는 얼마나 깊게 폭력을 거부할 수 있는가' '그걸 위해 더 이상 인간이라는 종에 속하기를 거부하는 이에게 어떤 일이 일어나는가'라는 질문 속에 살았다고 했다.

8살 한강 "사랑이란 우리 가슴 사이를 연결해주는 금실" 소설가 한강이 7일 오후(현지시간) 스웨덴 한림원에서 2024 노벨문학상 수상 기념 강연을 하고 있다. [사진 제공= AFP연합뉴스]

한강은 첫 소설부터 최근의 소설까지 어쩌면 내 모든 질문들의 가장 깊은 겹은 언제나 사랑을 향하고 있었던 것이 아닐까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여덟 살의 자신이 사랑은 나의 심장이라는 개인적인 장소에 있다고 썼듯 그것이 내 삶에 가장 오래고 근원적인 배움이었던 것은 아닐까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한강은 "언어가 우리를 잇는 실이라는 것을, 생명의 빛과 전류가 흐르는 그 실에 나의 질문들이 접속하고 있다는 사실을 실감하는 순간에 그 실에 연결되어 주었고, 연결되어 줄 모든 분들에게 마음 깊은 감사의 인사를 드린다"며 강연을 마쳤다.




박병희 기자 nut@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