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뉴스속 인물]'입지 흔들' 올라프 숄츠 총리, 獨 조기 총선 하나

시계아이콘01분 07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독일 역사상 첫 3당 연립정부인 '신호등 연정' 붕괴로 올라프 숄츠 총리의 입지가 흔들리고 있다.

숄츠 총리는 10일 연내 신임투표에 동의했다.

외신에 따르면 숄츠 총리는 독일 ARD방송 인터뷰에서 "주요 정당들이 동의하면 올해 크리스마스 이전에 자신에 대한 신임투표를 의회에 요청하는 것이 신속히 이뤄지길 바란다"고 말했다.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독일 역사상 첫 3당 연립정부인 '신호등 연정' 붕괴로 올라프 숄츠 총리의 입지가 흔들리고 있다. 숄츠 총리는 10일(현지시간) 연내 신임투표에 동의했다. 외신에 따르면 숄츠 총리는 독일 ARD방송 인터뷰에서 "주요 정당들이 동의하면 올해 크리스마스 이전에 자신에 대한 신임투표를 의회에 요청하는 것이 신속히 이뤄지길 바란다"고 말했다. 총리 신임투표는 조기 총선을 위한 절차다. 의회에서 총리 신임투표를 진행해 부결되면 정당들은 조기 총선에 돌입한다. 숄츠 총리는 2021년 12월 자신이 속한 사회민주당(SPD)과 린드너 대표의 자민당, 로베르트 하베크 경제기후보호부 장관의 녹색당 등 3당 연립정부를 구성했다. 각 당의 상징색이 빨강, 노랑, 녹색이라 '신호등 연정'으로 불린다. 신호등 연정은 린드러 전 장관이 난민 혜택과 실업수당 등 사회복지를 축소하고 기업 부담을 덜어줄 정책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해 갈등을 이어왔다. 신호등 연정은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결국 지난 6일 붕괴했다.

[뉴스속 인물]'입지 흔들' 올라프 숄츠 총리, 獨 조기 총선 하나 연합뉴스
AD

숄츠 총리는 독일 9번째 총리다. 숄츠 총리는 2021년 12월 8일 베를린 연방의회에서 열린 하원 표결에서 재적 의원 736명 중 395명의 찬성표를 얻어 선출됐다. 임기는 4년이다.


숄츠 총리는 1958년 6월 14일 서독 니더작센주 오스나브뤼크에서 3형제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뉴욕타임스에 따르면 그의 조부는 철도 노동자, 부모는 섬유 공장의 노동자였다. 함부르크에서 유년시절을 보냈다. 사민당 지지세가 강한 함부르크에서 그는 자연스레 사민당 정치인의 꿈을 키웠다.


숄츠 총리는 1975년 사민당에 가입했다. 그 당시 그는 17세인 고등학생 신분이었다. 그는 독일 사회민주당의 청년조직인 유조스(젊은 사회주의자들 JUSOS)에서 활동하면서 마르크스에 심취했다. 이후 숄츠 총리는 이후 함부르크 대학교에 입학해 법학을 공부했다. 1985년부터는 노동전문 변호사로 활동했다.


1998년 연방의회 의원이 된 숄츠 총리는 2002년부터 2년 동안 사회민주당 사무총장을 맡았다. 당시 게르하르트 슈뢰더 사민당 정부의 정책을 단조로운 톤으로 로봇처럼 발표해 기계인간 '숄츠마트'라는 별명을 얻었다. 그의 이름에 자동화를 뜻하는 단어 '아우토마트(Automat)'를 합친 단어다. 이후 그는 메르켈 총리가 처음 집권했던 2007~2009년 노동사회부 장관을 지냈다. 2011년부터 7년간 함부르크에서 시장을 맡았다. 메르켈 4기 내각에서는 부총리 겸 재무장관으로 일했다.


AD

부인 브리타 에른스트와는 1980년대 중반 유조스에서 만났다고 한다. 브리타 에른스트는 브란덴부르크 주정부의 교육부장관, 문화부 장관 등을 지냈다. 두 사람은 1998년에 결혼했고, 아이는 없다.




임혜선 기자 lhsr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놓칠 수 없는 이슈 픽

  • 25.06.1114:00
     송인수 "채용을 바꿔야 교육이 바뀐다"
    송인수 "채용을 바꿔야 교육이 바뀐다"

    "출신 대학을 보고 채용하는 문화가 바뀌지 않는 한 대한민국 교육의 미래도 없다." 송인수 교육의봄 대표는 아시아경제의 인터뷰에서 "기업이 채용할 때 지원자의 능력보다 '출신학교'를 보고 뽑기 때문에 학벌 경쟁이 벌어지고, '학벌'을 얻기 위해 사교육비 폭증이 생기는 것"이라면서 이같이 말했다. 2020년 창립한 교육의봄은 대한민국 교육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학벌 없는 채용'이 핵심이라고 보고, 기업의 채용 변화에 나

  • 25.06.1114:00
     윤지관 "대학 특성화로 서열 구조 타파해야"
    윤지관 "대학 특성화로 서열 구조 타파해야"

    "대학 특성화를 통해 지방 대학을 살려야 서울 중심 대학 서열 체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윤지관 대학문제연구소 소장은 아시아경제와 만나 "서울 중심의 대학 서열 구조는 교육을 넘어 저출산의 원인이 되는 한국 사회의 근본적 문제"라고 말했다. 2014년 설립된 대학문제연구소는 대학 문제가 고등교육만이 아니라 인구, 사회불평등구조, 국민복지, 지역균형발전 문제 등 국가 의제와 맞닿아 있다는 인식 아래 해법을 연구해

  • 25.06.1114:00
     남궁지영 "정권 변해도 교육 정책은 백년가야"
    남궁지영 "정권 변해도 교육 정책은 백년가야"

    수능 응시자 3명 중 1명은 N수생인 시대다. N수생 증가는 수능 대비를 위한 사교육 증가,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교육 불평등 확대 등의 부작용을 낳는다는 점에서 개선되어야 할 대표적인 교육 문제로 꼽힌다. 최근 N수생 실태를 조사한 남궁지영 한국교육개발원 선임연구위원은 아시아경제와 인터뷰에서 "잦은 입시 정책 변화를 최소화하는 것이야말로 교육 개혁의 첫걸음"이라고 말했다. 남궁 연구위원은 "2019년 조국

  • 25.06.1015:00
     벤 넬슨 "입시, 대학 자체 기준으로 뽑아야"
    벤 넬슨 "입시, 대학 자체 기준으로 뽑아야"

    "한국의 대학 입시 제도 개혁을 위해서는 모든 대학이 '하나의 시험'으로 인재를 선발할 게 아니라, 각 대학이 원하는 인재상에 따라 자율적으로 뽑을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벤 넬슨(Ben Nelson) 미네르바 대학 설립자 겸 최고경영자(CEO)는 아시아경제와 가진 서면 인터뷰에서 "대학별로 자체적인 입학 기준을 가져야 한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넬슨 설립자는 대학의 인재 선발 확대가 수험생(학생)들이 자신에게 적합

  • 25.06.1015:00
     양오봉 "국가교육委 역할과 권한 강화해야"
    양오봉 "국가교육委 역할과 권한 강화해야"

    양오봉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회장(전북대 총장)은 '입시 지옥'으로 대변되는 한국 교육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의적인 토론형 교육으로의 전환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양 총장은 아시아 경제 인터뷰에서 "초등학교 교육부터 대학 교육까지 지식 전달식(주입식)으로 교육이 이뤄지는 것이 문제"라고 짚으면서 "창의적이고 창조적인 교육보다는 암기, 지식 전달 위주의 교육이 아직도 개선이 안 되고 있다"고 말했다. 양 총장은

  • 25.06.1109:50
    강원택 "국민의힘 한심, 다투는 것도 한가로워"
    강원택 "국민의힘 한심, 다투는 것도 한가로워"

    강원택 서울대 정치학부 교수가 아시아경제 시사 유튜브 채널 'AK라디오'에 출연해 "이재명 정부의 첫인사는 무난했다. 문재인 정부 첫인사보다 낫다"고 평가했다. 지난 10일 오전 10시 서울 중구 충무로 아시아경제 스튜디오에서 1시간 동안 진행된 인터뷰에서 강 교수는 "당장은 경제가 급하지만, 이 대통령이 국가의 장기 발전과 관련한 인프라를 깔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또 "입법권이 사법권을 침해하는 듯한 모양새를 연

  • 25.06.0707:30
    美 월가 새 경제용어, '타코'에 트럼프가 격분한 이유
    美 월가 새 경제용어, '타코'에 트럼프가 격분한 이유

    최근 미국 월가에서 '타코(TACO)'라는 신조어가 화제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는 멕시코 음식 타코가 아닌,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오락가락하는 관세 정책을 비판하는 용어로 사용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기자회견장에서 이 용어를 사용한 기자에게 "무례하다"며 강하게 반발한 가운데,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을 조롱하는 영상들이 쏟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월가의 신조어 타코는 'Trump Always Chicken

  • 25.06.0517:15
    ②박명호 교수 "이 대통령 과반 못 넘은 것 항상 유의해야"[AK라디오]
    ②박명호 교수 "이 대통령 과반 못 넘은 것 항상 유의해야"[AK라디오]

    5일 오전 9시 아시아경제 유튜브 채널 'AK라디오'에 출연한 박명호 동국대 정치학과 교수는 "이재명 대통령은 기회와 위기 요인을 동시에 갖고 있다"며 "단기보다는 중장기를 준비하는 리더십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박 교수는 "보수의 키맨은 이준석·한동훈이 될 것"이라면서 "총선이 많이 남아 있어 국민의힘의 변화가 쉽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대선 결과가 주는 시사점은 무엇인가. 승부는 이미 결정된 선거였다. 기본적

  • 25.06.0417:35
    ①김만흠·채진원"대선 결과는 계엄 심판, 독주 견제"[AK라디오]
    ①김만흠·채진원"대선 결과는 계엄 심판, 독주 견제"[AK라디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21대 대한민국 대통령이 됐다. 이재명 후보는 49.42% 득표율을 기록해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41.15%),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8.34%), 권영국 민주노동당 후보(0.98%)를 제쳤다. 4일 오전 9시 아시아경제 유튜브채널 'AK라디오'에 출연한 김만흠 전 국회 입법조사처장과 채진원 경희대 공공거버넌스연구소 교수는 "계엄에 대해 심판하면서도 이재명 후보가 과반을 얻지 못하고 김문수 후보와의 격차가

  • 25.06.0106:00
    독재 정권도 90%는 넘는데…'투표율 12%'에도 승리 주장하는 베네수엘라 정권
    독재 정권도 90%는 넘는데…'투표율 12%'에도 승리 주장하는 베네수엘라 정권

    최근 베네수엘라에서 실시된 총선에서 투표율이 고작 12%를 기록하며 선거의 정당성에 대한 논란이 일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두로 정권은 대법원과 선거관리위원회의 승인을 받아 80%로 승리했다고 발표했으며, 이에 반발한 국민들의 시위가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상황이다. 일반적으로 독재 정권 하에서도 투표율이 90%에서 100%에 달하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베네수엘라의 12% 투표율은 총선으로서의 정당성 자체가 성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