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금융기관 대출행태 서베이
4분기에 가계대출 심사 강화될 듯
올해 4분기 시중은행들이 가계대출을 더욱 깐깐하게 볼 전망이다.

한국은행이 23일 발표한 '금융기관 대출행태 서베이 결과'에 따르면 은행과 신용카드회사 등 국내 금융기관 여신업무 담당자들은 4분기 국내은행의 대출태도가 가계는 더욱 강화될 것이고, 중소기업은 다소 완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4분기 국내은행의 대출태도 종합지수는 -12를 기록했다. 지수가 마이너스로 갈수록 대출태도를 강화할 것이라는 응답이 많았다는 의미다.
대기업은 -3으로 전 분기(0)보다 대출태도가 강화됐고, 중소기업은 3으로 전 분기와 동일하게 다소 완화를 전망했다. 대기업의 경우 대내외 불확실성에 따른 위험관리 차원에 따라 강화가 예상됐다. 반면 중소기업은 정책지원 강화로 완화를 전망했다고 한은은 설명했다.
가계는 주택의 경우 -28로 전 분기(-22)보다 대출태도가 더욱 강화됐다. 가계 일반도 -17로 마이너스를 유지했다. 지난 9월부터 시행된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의 신용대출 확대적용 조치 등 지속적인 가계부채 관리로 향후에도 강화 기조가 이어질 전망이다.
4분기 중 기업의 신용위험은 중소기업의 업황 부진으로 높은 수준을 보일 것으로 전망됐다. 국내은행이 예상한 4분기 신용위험 종합지수는 19를 기록했다. 대기업의 신용위험은 11로 전 분기(6)보다 높아졌고, 중소기업의 신용위험은 25로 전 분기(31)보다 낮아졌다. 지수가 플러스로 갈수록 신용위험이 증가할 것이라는 응답이 많았다는 의미다.
가계의 신용위험은 11로 전 분기(25)보다 낮아졌다. 가계의 소득 여건 개선세가 지연되면서 경계감은 계속될 것이라고 한은은 설명했다.
4분기 대출 수요는 중소기업과 가계를 중심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4분기 중소기업의 대출수요지수는 14로 전 분기(6)보다 증가했다. 가계일반의 대출수요지수는 17에서 19로 올랐다. 가계주택은 28에서 8로 낮아졌다. 중소기업은 운전자금과 유동성 확보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고, 가계는 생활용도자금 등 신용대출을 중심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비은행금융기관, 대출태도 강화 기조 유지
비은행금융기관의 대출태도는 신용카드사를 제외한 대부분의 업권에서 강화 기조를 유지할 전망이다. 상호저축은행 등 비은행금융기관의 연체율이 높은 수준을 이어감에 따라 자산건전성 관리를 위해 대출태도 강화를 지속할 것으로 예상된다.
비은행금융기관의 신용위험은 대부분의 업권에서 높은 수준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저신용, 저소득층 등 취약차주와 부동산 관련 대출을 중심으로 한 자산건전성 우려에 주로 기인한다.
지금 뜨는 뉴스
금융기관 대출행태서베이는 은행, 카드사 등을 포함한 204개 금융기관을 대상으로 진행된다. 대출태도와 신용위험, 대출수요에 대해 지난 3개월간의 동향과 향후 3개월간 전망을 조사한다.
박재현 기자 now@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