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기업 재무·회계·세무 종사자 88%는 재무 및 회계·감사 업무에 인공지능(AI) 투자가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40%는 현재 업무에 AI를 사용하거나 도입 검토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2일 글로벌 회계·컨설팅 법인 EY한영은 지난달 실시한 ‘2024 EY한영 AI와 재무의 미래’ 설문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국내 기업의 재무·회계·세무 관련 부서 임직원 616명이 참여했다.
재무 및 회계·감사 업무에 현재의 AI 도입 수준을 묻는 질문에 17%는 이미 AI를 업무에 사용 중이며, 23%는 도입을 검토 중, 60%는 아직 도입 계획이 없다고 답했다. 전체 응답자 중 자산규모 2조원 이상 기업은 50%가, 자산규모 5000억 원 미만 기업은 29%가 AI를 재무 및 회계·감사 업무에 도입했거나 도입을 검토 중인 것으로 조사됐다. 응답자의 18%는 대화형 AI 서비스 등을 포함한 생성형 AI(Gen AI)를 활용하고 있다고 했다.
대다수 응답자는 재무 및 회계·감사 분야의 AI 관련 투자가 필요하다고 봤다. AI 투자가 필요하다는 응답률은 88%인 반면, 불필요하다는 응답률은 12%에 불과했다. 재무·회계·세무 종사자들은 AI 투자를 고려할 때 비용 부담(65%)을 가장 어려운 점이라고 생각했다. AI 기술에 대한 불확실성(55%), 내부 전문 인력의 부재(51%), 법률 및 규제 위반 가능성(19%)이 뒤를 이었다.
성공적인 AI 도입을 위해선 데이터 표준화(67%)와 경영진의 관심과 의지(62%)가 가장 필요하다고 답했다. 내부 전문인력의 양성(37%), AI 전문 컨설팅 법인의 지원(26%), 법률 및 관련 제도 변경(18%) 등도 다수가 강조했다.
AI 개발과 구축 시 먼저 고려해야 할 사항으론 ‘신뢰성 및 정확성’이 1순위로 꼽혔고, 그 뒤로 ‘정보 보호, 감시 및 보안’, ‘법률 및 규제 준수’, ‘공정성 및 편향성’ 등 순이었다.
이광열 EY한영 감사 부문 대표는 “AI 도입이 활발한 글로벌 추세에 따라 국내 기업들도 머지않아 재무 및 회계 분야 등에 AI를 도입해 업무의 효율성과 재무정보의 신뢰성이란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김대현 기자 kd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