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주식시장, 계절성 우려 확대
채권금리 반등과 유동성 위축, 9월 증시 조정 원인
코스피는 2700선 돌파 가능성…리스크 관리 필요
9월이 시작되면서 주식시장의 계절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특히, 최근 3년 동안 코스피는 9월에 연속으로 하락세를 보였으며, 2000년 이후 미국을 포함한 글로벌 증시도 유사한 패턴을 보여왔다.
2일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미국 S&P500 지수는 9월 평균 수익률이 -1.65%에 불과하며, 상승 확률도 45.8%로 연중 최저 수준"이라며 "2021년 이후 S&P500의 9월 평균 수익률은 -6.32%, 상승 확률은 0%로 기록됐다. 코스피도 2000년 이후 9월 평균 수익률이 -0.92%로 연중 두 번째로 낮으며, 2021년 이후에는 -6.82%로 3년 연속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고 했다.
9월의 약세는 채권금리와 VIX(변동성 지수)에서도 관찰된다. 금융위기 이후 채권금리 반등이 유동성 및 통화정책 불확실성을 자극하며 증시 조정의 원인이 됐다. 2021년 이후 9월과 10월에는 미국 채권 10년물 금리가 평균 30bp(0.30%) 이상 상승했으며, VIX는 9월에 평균 5%포인트 이상 반등하는 패턴을 보였다.
특히, 9월에는 미국의 법인세 납부와 유대교 신년 등의 시점에서 시중 유동성이 위축되는 경향이 있다. 2024년에는 9월 18일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 20일 BOJ(일본은행) 정책회의, 20~29일 일본 자민당 총재선거 등 주요 이벤트가 예정되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엔화 강세 압력이 확대되며 엔캐리 매물 압력이 증가할 수 있어, 증시 변동성에 대한 우려가 커질 수 있다.
지금 뜨는 뉴스
이 연구원은 "그런데도 코스피는 9월 첫째 주에 단기 과열 해소와 매물 소화 과정을 거친 뒤 반등 시도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며 "강한 한국 수출 모멘텀과 미국 제조업 지수의 반등, 고용 지표 개선 등을 고려할 때, 코스피는 2700선을 돌파할 가능성이 높다. 추석 연휴 전 2700선 돌파 시도는 리스크 관리 강화와 현금 비중 확대의 기회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그는 "올해 9월의 경우, 글로벌 경제 지표와 유동성 환경을 면밀히 분석하며 리스크를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오유교 기자 5625@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