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갤러리 산책]파스텔의 마법사, 호암미술관을 色으로 물들이다

시계아이콘01분 37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니콜라스 파티: 더스트' 展
회화·조각·파스텔 벽화 등 총 73점 전시
용인 호암미술관, 25년 1월 19일 까지

"한국의 오랜 역사와 복잡한 매체, 이미지를 담고 있는 고미술 컬렉션에 전시 초점을 맞췄다. 처음엔 낯설었지만 좋은 배움의 기회가 됐고, 내가 알지 못했던 한국의 역사에 대해서도 많이 알게 됐다."


[갤러리 산책]파스텔의 마법사, 호암미술관을 色으로 물들이다 '폭포2'. [사진제공 = 호암미술관]
AD

몽환적 파스텔 작업으로 인간과 자연의 변화를 사유하는 스위스 작가 니콜라스 파티(44)가 한국 고미술을 모티브로 한 다양한 신작을 선보인다. 무표정한 여인이 옆을 보고 있는 모습, 그 상반신은 청자 주자(靑磁 注子·청자로 만든 술병)다. 당나라 팔선(八仙) 중 하나로 전해지는 신선 이철괴(李鐵拐)의 호리병 형태로 만든 고려청자는 리움미술관 소장품 '청자 동채 연화문 표형 주자'에서 차용한 것이다.


니콜라스 파티의 국내 첫 개인전 '니콜라스 파티: 더스트'가 8월 31일부터 내년 1월 19일까지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호암미술관에서 개최된다. 이번 전시에서 작가는 한국 고미술에서 영감을 받아 제작한 파스텔화 신작 20점과 해당 고미술품, 자신의 작품 전반을 아우르는 회화와 조각 48점을 선보인다.


[갤러리 산책]파스텔의 마법사, 호암미술관을 色으로 물들이다 29일 경기 용인시 호암미술관에서 열린 전시 '더스트' 사전 간담회에서 작가 니콜라스 파티가 작품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번 전시를 위해 6주간 미술관에 머물며 미술관 로비와 전시실 내부 벽면에 그린 대형 파스텔 벽화 5점도 만날 수 있다. 조선시대 민화나 도자기 등을 모티브로 한 이 작품들은 전시 기간에만 만날 수 있으며, 전시 종료 후에는 폐기한다.


니콜라스 파티는 고대부터 근현대까지 미술사의 다양한 작가와 모티브, 양식, 재료 등을 참조해 자신만의 독자적인 이미지를 만들어왔다. 18세기 유럽에서 유행한 이후 잊힌 파스텔화로 풍경과 정물, 초상 같은 전통적인 회화 장르를 재해석해 이름을 알린 그는, 이번 전시에서는 한국의 고미술을 재해석한 새로운 작업 결과를 공개한다.


전시 준비 단계에서 리움미술관의 고미술 소장품을 참조한 파티는 초상(화) 신작 8점을 조선시대 '십장생도 10곡병'과 김홍도의 '군선도' 속 상징을 따와 상상 속 여덟 신선(팔선)을 형상화해 작업했다.


[갤러리 산책]파스텔의 마법사, 호암미술관을 色으로 물들이다 니콜라스 파티의 '청자가 있는 초상'(2024). [사진제공 = 호암미술관]

미술관 내부에 들어서면 관객을 맞는 작품 '동굴' 앞에는 조선시대 '백자 태호'가 놓여있다. '공룡' 연작은 청동운룡문 운판에 재현된 용(龍)의 이미지와 함께하며, '주름'과 '곤충' 연작은 겸재 정선의 '노백도'와 함께 전시되는 등 고미술품과 파티의 그림이 전시장 곳곳에서 자연스럽게 녹아든다. '주름'과 '곤충' 연작은 16세기 이탈리아 화가 브론치노의 해부학적 인체 표현과 17세기 플랑드르 화가 얀 반 케셀 1세의 곤충 이미지를 참조한 작품. '목숨 수(壽)'자가 늙은 송백(松柏) 형상으로 늘어진 정선의 '노백도'와 함께 놓여 있어 기묘한 분위기를 연출한다.


호암미술관 로비와 전시장 벽 위에 작업한 대형 파스텔 벽화도 눈길을 사로잡는다. 로비 중앙계단 벽면 5.5m 대형작품 '폭포'는 19세기 사실주의 작가 구스타브 쿠르베의 폭포 그림을 참조했지만, 붉은 돌 사이로 힘차게 쏟아지는 물줄기의 모습은 환상적이면서도 몽환적 인상을 선사한다.


[갤러리 산책]파스텔의 마법사, 호암미술관을 色으로 물들이다 파티가 이번 전시를 위해 그린 대형 벽화 '동굴' 앞에 조선시대 왕실의 탯줄을 보관하던 '태호'를 전시한 모습. [사진제공 = 호암미술관]

이건희 전 삼성그룹 회장이 국립중앙박물관에 기증한 조선시대 백자 '백자 태호'를 모티브로 작업한 9m 규모의 대형 벽화 '동굴'(2024)은 벨기에 상징주의 화가 윌리엄 드구브 드 뉭크가 하나의 색조로 동굴의 깊이를 표현한 것을 참조해 초현실적 동굴 풍경을 담아냈다. 그 앞에 '백자 태호'를 전시해 마치 하나의 작품처럼 표현됐다.


AD

전시를 기획한 곽준영 리움미술관 전시기획실장은 "니콜라스 파티는 파스텔화의 동시대적 가능성을 확장하고 미술사의 다양한 요소를 자유롭게 참조하고 샘플링하는 작가"라며 "미로와 같은 공간에서 아치문을 통과할 때마다 만나는 낯선 무대에서 동서고금의 문화적 상징들이 예기치 않은 방식으로 교차하며 우리의 상상을 자극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희윤 기자 film4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놓칠 수 없는 이슈 픽

  • 25.06.1114:00
     송인수 "채용을 바꿔야 교육이 바뀐다"
    송인수 "채용을 바꿔야 교육이 바뀐다"

    "출신 대학을 보고 채용하는 문화가 바뀌지 않는 한 대한민국 교육의 미래도 없다." 송인수 교육의봄 대표는 아시아경제의 인터뷰에서 "기업이 채용할 때 지원자의 능력보다 '출신학교'를 보고 뽑기 때문에 학벌 경쟁이 벌어지고, '학벌'을 얻기 위해 사교육비 폭증이 생기는 것"이라면서 이같이 말했다. 2020년 창립한 교육의봄은 대한민국 교육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학벌 없는 채용'이 핵심이라고 보고, 기업의 채용 변화에 나

  • 25.06.1114:00
     윤지관 "대학 특성화로 서열 구조 타파해야"
    윤지관 "대학 특성화로 서열 구조 타파해야"

    "대학 특성화를 통해 지방 대학을 살려야 서울 중심 대학 서열 체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윤지관 대학문제연구소 소장은 아시아경제와 만나 "서울 중심의 대학 서열 구조는 교육을 넘어 저출산의 원인이 되는 한국 사회의 근본적 문제"라고 말했다. 2014년 설립된 대학문제연구소는 대학 문제가 고등교육만이 아니라 인구, 사회불평등구조, 국민복지, 지역균형발전 문제 등 국가 의제와 맞닿아 있다는 인식 아래 해법을 연구해

  • 25.06.1114:00
     남궁지영 "정권 변해도 교육 정책은 백년가야"
    남궁지영 "정권 변해도 교육 정책은 백년가야"

    수능 응시자 3명 중 1명은 N수생인 시대다. N수생 증가는 수능 대비를 위한 사교육 증가,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교육 불평등 확대 등의 부작용을 낳는다는 점에서 개선되어야 할 대표적인 교육 문제로 꼽힌다. 최근 N수생 실태를 조사한 남궁지영 한국교육개발원 선임연구위원은 아시아경제와 인터뷰에서 "잦은 입시 정책 변화를 최소화하는 것이야말로 교육 개혁의 첫걸음"이라고 말했다. 남궁 연구위원은 "2019년 조국

  • 25.06.1015:00
     벤 넬슨 "입시, 대학 자체 기준으로 뽑아야"
    벤 넬슨 "입시, 대학 자체 기준으로 뽑아야"

    "한국의 대학 입시 제도 개혁을 위해서는 모든 대학이 '하나의 시험'으로 인재를 선발할 게 아니라, 각 대학이 원하는 인재상에 따라 자율적으로 뽑을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벤 넬슨(Ben Nelson) 미네르바 대학 설립자 겸 최고경영자(CEO)는 아시아경제와 가진 서면 인터뷰에서 "대학별로 자체적인 입학 기준을 가져야 한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넬슨 설립자는 대학의 인재 선발 확대가 수험생(학생)들이 자신에게 적합

  • 25.06.1015:00
     양오봉 "국가교육委 역할과 권한 강화해야"
    양오봉 "국가교육委 역할과 권한 강화해야"

    양오봉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회장(전북대 총장)은 '입시 지옥'으로 대변되는 한국 교육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의적인 토론형 교육으로의 전환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양 총장은 아시아 경제 인터뷰에서 "초등학교 교육부터 대학 교육까지 지식 전달식(주입식)으로 교육이 이뤄지는 것이 문제"라고 짚으면서 "창의적이고 창조적인 교육보다는 암기, 지식 전달 위주의 교육이 아직도 개선이 안 되고 있다"고 말했다. 양 총장은

  • 25.06.1109:50
    강원택 "국민의힘 한심, 다투는 것도 한가로워"
    강원택 "국민의힘 한심, 다투는 것도 한가로워"

    강원택 서울대 정치학부 교수가 아시아경제 시사 유튜브 채널 'AK라디오'에 출연해 "이재명 정부의 첫인사는 무난했다. 문재인 정부 첫인사보다 낫다"고 평가했다. 지난 10일 오전 10시 서울 중구 충무로 아시아경제 스튜디오에서 1시간 동안 진행된 인터뷰에서 강 교수는 "당장은 경제가 급하지만, 이 대통령이 국가의 장기 발전과 관련한 인프라를 깔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또 "입법권이 사법권을 침해하는 듯한 모양새를 연

  • 25.06.0707:30
    美 월가 새 경제용어, '타코'에 트럼프가 격분한 이유
    美 월가 새 경제용어, '타코'에 트럼프가 격분한 이유

    최근 미국 월가에서 '타코(TACO)'라는 신조어가 화제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는 멕시코 음식 타코가 아닌,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오락가락하는 관세 정책을 비판하는 용어로 사용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기자회견장에서 이 용어를 사용한 기자에게 "무례하다"며 강하게 반발한 가운데,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을 조롱하는 영상들이 쏟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월가의 신조어 타코는 'Trump Always Chicken

  • 25.06.0517:15
    ②박명호 교수 "이 대통령 과반 못 넘은 것 항상 유의해야"[AK라디오]
    ②박명호 교수 "이 대통령 과반 못 넘은 것 항상 유의해야"[AK라디오]

    5일 오전 9시 아시아경제 유튜브 채널 'AK라디오'에 출연한 박명호 동국대 정치학과 교수는 "이재명 대통령은 기회와 위기 요인을 동시에 갖고 있다"며 "단기보다는 중장기를 준비하는 리더십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박 교수는 "보수의 키맨은 이준석·한동훈이 될 것"이라면서 "총선이 많이 남아 있어 국민의힘의 변화가 쉽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대선 결과가 주는 시사점은 무엇인가. 승부는 이미 결정된 선거였다. 기본적

  • 25.06.0417:35
    ①김만흠·채진원"대선 결과는 계엄 심판, 독주 견제"[AK라디오]
    ①김만흠·채진원"대선 결과는 계엄 심판, 독주 견제"[AK라디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21대 대한민국 대통령이 됐다. 이재명 후보는 49.42% 득표율을 기록해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41.15%),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8.34%), 권영국 민주노동당 후보(0.98%)를 제쳤다. 4일 오전 9시 아시아경제 유튜브채널 'AK라디오'에 출연한 김만흠 전 국회 입법조사처장과 채진원 경희대 공공거버넌스연구소 교수는 "계엄에 대해 심판하면서도 이재명 후보가 과반을 얻지 못하고 김문수 후보와의 격차가

  • 25.06.0106:00
    독재 정권도 90%는 넘는데…'투표율 12%'에도 승리 주장하는 베네수엘라 정권
    독재 정권도 90%는 넘는데…'투표율 12%'에도 승리 주장하는 베네수엘라 정권

    최근 베네수엘라에서 실시된 총선에서 투표율이 고작 12%를 기록하며 선거의 정당성에 대한 논란이 일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두로 정권은 대법원과 선거관리위원회의 승인을 받아 80%로 승리했다고 발표했으며, 이에 반발한 국민들의 시위가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상황이다. 일반적으로 독재 정권 하에서도 투표율이 90%에서 100%에 달하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베네수엘라의 12% 투표율은 총선으로서의 정당성 자체가 성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