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교육부·과기부·산업부, 지역대학 혁신 위해 부처 벽 허문다

시계아이콘00분 58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업무협약 및 협업 방안 합동 정책 발표
인재 양성, 기술 연구 등 지원 협력
하반기 접수 거쳐 내년부터 예산 지원
부처 간 공동 연구, 협업 방안 구체화

지역 대학의 발전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관계부처가 협업한다. 유관부처가 대학에 교육과정과 연구자금 등을 지원하면, 교육부는 지역 맞춤형 교육과정을 운영할 수 있도록 벽을 허물겠다는 취지다.


교육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는 22일 대전 바이오오케스트라에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지역발전 프로젝트 협업 방안' 합동 정책을 발표했다. 이는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라이즈)'를 바탕으로 대학과 기업, 기관이 협력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이날 협약에는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유상임 과기부 장관, 안덕근 산업부 장관과 유관기관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교육부·과기부·산업부, 지역대학 혁신 위해 부처 벽 허문다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사진=조용준 기자 jun21@
AD

관계부처가 이날 발표한 협업 방안에 따르면 교육부와 산업부는 지역산업 수요 맞춤형 인재 양성을 지원한다. 산업부가 지역산업 활력 투자기금(펀드)을 통해 지역 유망 기업의 기술사업화 자금을 지원하면, 교육부는 지역 대학이 해당 기업에서 필요한 기업 맞춤형 교육과정을 개설할 수 있도록 라이즈 체계에서 지원한다.


산업부는 현재 260억원 규모의 1차 지역산업 활력 투자기금을 운용 중이며, 올해 말까지 1100억원 규모의 2차 투자기금을 추가로 조성할 예정이다.


교육부·과기부·산업부, 지역대학 혁신 위해 부처 벽 허문다 [자료출처=교육부]


교육부와 산업부는 혁신기술 개발도 함께 지원한다. 지역기업과 대학이 컨소시엄을 구성해 연구개발(R&D) 과제를 신청하면 산업부는 기업에, 교육부는 대학에 연구자금을 지원한다. 올해 하반기 연구개발 과제 접수·평가를 거쳐 내년부터 예산지원을 시작한다.


교육부와 과기부는 지역 거점 국립대와 출연연구기관 간 인력양성·기술이전 등 지역 혁신을 지원하는 협력 플랫폼 구축을 지원한다. 지난해 선정된 4개 권역 플랫폼은 ▲충청권(이차전지) ▲호남·제주권(첨단 이동 수단) ▲동남권(수소) ▲대경·강원권(첨단 이동 수단, 인공지능)이다. 플랫폼을 중심으로 대학과 기관 간 벽을 허물어 협업을 강화하겠다는 안이다. 이를 통해 대학부설연구소를 국가연구소로 육성하겠다는 구상도 갖고 있다.


하반기에는 양 부처 간 공동기획연구를 통해 전문기관 간 역할 정립 등 협업 확대 방안을 구체화할 예정이다.



교육부 측은 "그간의 사업은 부처별 목적에 따라 개별적으로 추진돼 상대적으로 연계가 어렵고, 지역의 성과 체감도가 낮다는 평가가 있었다"며 "지역의 위기 해소를 위해서는 부처 간 칸막이를 뛰어넘는 종합적인 지원이 필수적"이라고 설명했다.




박준이 기자 giver@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