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땅과 하늘 연결…현대차·기아, 인니서 AAM 기술 실증

시계아이콘00분 49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인도네시아서 미래항공모빌리티 본격 사업화

땅과 하늘 연결…현대차·기아, 인니서 AAM 기술 실증 인도네시아 교통부, 신수도청 등 정부 및 현대차·기아 관계자들이 29일(현지시간) 'S-A2' 전시물 앞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제공=현대자동차·기아)
AD

현대자동차·기아가 인도네시아에서 지상과 항공을 연결하는 미래항공모빌리티(AAM) 기술을 실증하고 본격 사업화에 나선다.


현대차·기아는 29일(현지시간) 인도네시아 신수도 인근 사마린다 공항에서 AAM 기술 실증 공개 행사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인도네시아 교통부, 신수도청 등 정부 관계자와 김철웅 현대차·기아 AAM사업추진담당 상무 등 회사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인도네시아는 국토면적이 넓은 데다 군도 1만8천여개로 이뤄져 육로 교통 발달이 힘들다. 이 때문에 AAM 사업 성장 가능성이 가장 높은 국가로 꼽혔다.


이날 현대차·기아는 수요응답형 교통수단(DRT) '셔클'과 AAM 서비스를 실증했다. 지상과 항공 모빌리티를 연결하는 통합 모빌리티 솔루션을 통해 보다 자유롭고 편안하게 이동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시하겠다는 전략이다.


현대차·기아는 우선 AMM을 포함한 지상·항공 통합 모빌리티의 예약 및 결제 과정 전반을 다루는 셔클 어플리케이션(앱)을 설명했다. 이어 셔클 앱으로 현대차 카운티 전기차(EV) 버스를 호출한 뒤 행사장인 격납고로 관계자들을 이송했다.


AAM 기체 시연에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AAM 시제기 '오파브'가 사용됐다. 오파브는 인도네시아 교통부와 사전 협의된 비행경로를 따라 이륙 후 약 2km를 비행한 뒤 목적지에 도착했다. 행사장에는 2028년 상용화를 목표로 개발 중인 신형 AAM 기체 'S-A2'의 축소 모형도 전시됐다. 이 기체는 연초 세계 최대 가전 행사 'CES 2024'에서 최초로 공개된 바 있다.



김철웅 AAM사업추진담당은 "미래항공모빌티리가 자리 잡기 위해서는 기체 개발만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항공 산업 전체의 협력이 필요하다"며 "현대차그룹의 미국 내 도심 항공 모빌리티 독립 법인 '슈퍼널'과 2028년 AAM 상용화를 목표로 연구 개발을 지속하는 한편, 미래 AAM 생태계를 주도하기 위해 인도네시아 정부 및 기관과의 전략적 제휴를 이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민우 기자 letzwi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