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조선인 강제노역' 역사 전시하기로
외교부 "역사 반영 약속, 실질조치까지"
정부는 일본 사도광산의 유네스코(UNESCO) 세계유산 등재가 유력해 보인다는 입장을 밝혔다. 사도광산은 조선인 강제노역 현장으로, 일본 측은 이 같은 사실을 포함해 '전체 역사'를 반영해야 한다는 우리 요구를 받아들이기로 했다.
외교부 당국자는 26일 기자들과 만나 "어려운 과정 끝에 가까스로 한일 간 합의가 막판에 이뤄지고 있으며 앞으로 특별한 일이 일어나지 않는 한 내일 회의에서 한일 간 투표 대결 없이 사도광산이 세계유산으로 등재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일본이 '사도광산의 전체 역사를 반영하라'라는 한국의 입장을 반영한 데 따라 27일 인도 뉴델리에서 열리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WHC) 회의에서 등재에 동의할 방침을 시사한 것이다.
이 당국자는 이 같은 방침을 정한 배경으로 "첫 번째는 일본이 전체 역사를 반영하겠다고 약속했고, 두 번째는 이를 위한 실질 조치를 이미 취했다는 것"이라며 "이번에는 2015년 군함도 등재 때와 달리 일본의 이행 약속만 받은 게 아니라 구체적인 내용에 합의하고 실질 조치를 끌어냈다"고 강조했다. 일본 아사히신문은 이날 사도광산 등재와 관련해서 한일 정부가 조선인 노동자 역사를 현지에서 전시하는 데 합의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지금 뜨는 뉴스
세계유산 등재 여부는 WHC 21개 위원국 3분의 2 이상이 찬성하는 것이 기준이지만 관례상 컨센서스(만장일치) 결정을 따른다. 외교부는 조선인 강제노역 등 전체 역사가 반영되지 않을 경우 컨센서스를 막겠다는 입장을 밝혀 왔다.
장희준 기자 jun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